과천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천 | |
---|---|
역명판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안양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별양로 지하177 (별양동 2) |
좌표 | 북위 37° 25′ 59″ 동경 126° 59′ 49″ / 북위 37.43306° 동경 126.99694° |
개업일 | 1994년 4월 1일 |
역 번호 | 438 |
종별 | 무배치간이역[1] |
역 코드 | AFC 코드 : 0863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 | |
진접(경복대) 기점 50.2km | |
← 437 대공원
439 정부과천청사 → | |
과천역(果川驛, Gwacheon station)은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철역이다.
개통 전의 역명 가칭은 별양동에 위치하여 별양역(別陽驛)이었다가 개통 후 현재의 역명으로 명명됐다. 이 역 위에는 양재천이 지나간다.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이 갖추어져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다.
이 역은 곡선으로 많이 휘었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 하차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 | ● 수도권 전철 4호선 | 대공원 · 이촌 · 명동 · 창동 · 불암산 방면 |
---|---|---|
2 | 금정 · 안산 · 오이도 방면 |
역명은 과천역이지만, 과천시의 중심지가 아닌 주거지에 있다. 과천시청은 정부과천청사역과 더욱 가까우며, 중심가로 가려면 정부과천청사역에서 내리는 것이 좋다
나가는 곳 | 방면 |
---|---|
1 | 과천중앙공원 과천초등학교 주공10단지아파트 온온사 과천시건강가정지원센터 래미안에코팰리스아파트 |
2 | 관문초등학교 부림동행정복지센터 과천부림우편취급국 부림지역아동센터 주공8단지아파트 주공9단지아파트 관문체육공원 |
3 | 과천시장애인복지관 과천주공6단지아파트 주공7단지아파트 문원동행정복지센터 문원체육공원 과천시청소년수련관 |
4 | 과천문화원 문원체육공원 과천고등학교 청계초등학교 주공5단지아파트 |
5 | 과천주공5단지 경기도립과천도서관 과천고등학교 청계초등학교 과천중앙공원 |
6 | 중앙공원 과천고등학교 과천도서관 청계초등학교 |
7 | 과천1.10.11단지 과천지구대 중앙동행정복지센터 과천중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 과천외국어고등학교 과천경찰서 과천전화국 과천소방서 시민회관 과천초등학교 |
경기도 과천시의 주거지에 있기 때문에, 과천선 역들 중 가장 이용객이 적다.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4호선 | 6237 | 6248 | 5616 | 5733 | 5796 | 5712 | 6624 | 5775 | 7125 | 7371 | 7209 | 6864 | 7007 | 6825 | 6804 | 6675 | 5546 | 4775 | 4888 | 5340 | 4006 | 4656 | 5803 | [2] |
과천선 | ||
---|---|---|
437 대공원 불암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
439 정부과천청사 오이도 방면 |
- ↑ 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