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Tue Dec 13 2016
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
Science, ICT, Future Plann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 |
![]() | |
설립일 | 1948년 10월 2일 |
---|---|
설립 근거 | 국회법 |
전신 |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
위원장 | 최민희 |
간사(여당) | 최형두 |
간사(야당) | 김현 |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科學技術情報放送通信委員會, 영어: Science, ICT, Future Plann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는 과학기술·방송통신에 관한 국회의 의사결정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국회 상임위원회이다.
- 국회법 [법률 제14840호, 2017.07.26 일부개정] 제37조[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그리고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청원 등의 심사, 기타 법률에서 정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 1948년 10월 2일 - 문교사회위원회를 설치
- 1951년 3월 15일 - 사회보건위원회를 분리
- 1963년 11월 26일 - 문교위원회를 문교공보위원회로 개편
- 1990년 6월 29일 - 문화공보위원회와 문교체육위원회로 분리
- 1991년 5월 31일 - 문교체육위원회를 교육체육청소년위원회로 개편
- 1993년 3월 6일 - 교육체육청소년위원회의 체육청소년 부문을 문화공보위원회로 옮겨 문화체육공보위원회로 개편
- 1998년 3월 18일 - 문화체육공보위원회를 문화관광위원회로 개편
- 2008년 8월 25일 - 문화관광위원회를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로 개편
- 2013년 3월 23일 -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를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로 개편
- 2017년 7월 26일 -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로 개편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 우주항공청, 원자력안전위에 대한 질의 및 보고, 그리고 각 부처의 수장의 인사청문회를 이곳에서 담당한다. 또한 관련 법률과 의안을 논의하고, 예산안, 결산, 기금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국정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위원정수 | 현원[2]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무소속 |
---|---|---|---|---|
20 | 20 | 12 | 7 | 1 |
위원장 | 최민희 - 경기 남양주시 갑 | |||
간사 | 김현 - 경기 안산시 을 | 최형두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 ||
위원 | 김상희 - 경기 부천시 병 변재일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우상호 - 서울 서대문구 갑 윤영찬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이용빈 - 광주 광산구 갑 전혜숙 - 서울 광진구 갑 정필모 - 비례대표 조정식 - 경기 시흥시 을 한준호 - 경기 고양시 을 홍익표 - 서울 중구성동구 갑 |
김영식 - 경북 구미시 을 박대출 - 경남 진주시 갑 정희용 -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주호영 - 대구 수성구 갑 허은아 - 비례대표 |
양정숙 - 비례대표 |
소위원회 | 의원[3] | |||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무소속 | ||
과학기술원자력법안심사소위원회 (7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정보통신방송법안심사소위원회 (7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 (8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청원심사소위원회 (7인) |
소위원장 | |||
소위원 |
- ↑ ① 상임위원회와 그 소관은 다음과 같다.
- 5.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통신위원회
-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에 속하는 사항
- 나. 방송통신위원회 소관에 속하는 사항
- 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소관에 속하는 사항
- 5.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통신위원회
- ↑ “국회활동 > 위원회 > 위원회 현황”. 《대한민국 국회》. 2016-12-13 기준 명단
- ↑ “위원회 소개 > 위원회 구성 > 소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6-12-13 기준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