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슈퍼리그 2021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Thu Mar 31 2016
핑안 중국축구협회 슈퍼리그 平安中国足协超级联赛 | |
---|---|
![]() | |
대회 명칭 | 핑안 중국축구협회 슈퍼리그 平安中国足协超级联赛 |
개최 기간 | 2021년 4월 20일~5월 17일, 7월 15일~8월 15일(정규리그) 2021년 12월 12일~2022년 1월 4일(최종 라운드) 2022년 1월 8~12일(승강 플레이오프) |
결과 | |
![]() | 산둥 타이산 |
![]() | 창춘 야타이 |
![]() | 다롄 프로(승강 PO 패배) 칭다오 FC(승강 PO 패배) |
AFC 챔피언스리그 | 산둥 타이산 상하이 하이강 광저우 FC |
최다 득점 | ![]() (14골) |
통계 | |
총 득점 | 447 |
경기당 평균 득점 | 2.54 |
최다 점수 경기 | 톈진 진먼후 1-6 상하이 하이강 광저우 FC 5-2 칭다오 칭다오 2-5 우한 (7골)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광저우 FC 5-0 칭다오 상하이 하이강 5-0 톈진 진먼후 광저우 시티 5-0 베이징 궈안 (5골차)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칭다오 0- 6 광저우 (6골차) |
최다 연승 | 산동 타이산 (10경기) |
최다 무패 | 산동 타이산 (13경기) |
최다 무승 | 우한 (12경기) |
최다 연패 | 칭다오 (11경기) |
평균 관중 | 4,656 |
최다 관중 경기 | 28,252 광저우 2-0 선전 (2021년 5월 2일) |
최소 관중 경기 | 0 (무관중경기) |
« 2020 2022 » |
2021년 핑안 중국축구협회 슈퍼리그[1]는 1994년에 출범한 중국 프로 축구 리그의 27번째 시즌이자 2004년에 중국 슈퍼리그 창설 후 17번째 시즌이다. 또한, 1954년 중국에서 처음 열린 전국 축구 대회 이후에 59회째 열리는 중국 축구 최고 리그이다. 본 대회는 장쑤 쑤닝을 포함하여 16개 팀이 참가한다. 리그 타이틀 스폰서는 핑안 보험이다.[2][3]
2021년 시즌은 광둥성 광저우와 저장성 쑤저우 소재 중립경기장에서 팀당 30경기로 시행될 것이다. 2021년 2월 3일, 중국축구협회는 중국 슈퍼리그 2021 시즌이 2021년 4월 20일에 개막하고 12월 5일에 끝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전염병이 광동성에서 재유행하고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잔여 경기 개최지의 아랍에미레이트 샤르자로 재변경으로 국외 중립경기를 치르고 귀국 직후 3주간 의무격리 문제로, 중국 슈퍼리그의 정규리그의 잔여 경기가 7월 15일로 연기 재개될 것이다.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 진출하여서, 국가대표팀의 장기 소집과 원정경기 후 귀국시 중국 정부의 3주간 시설격리 명령 때문에, 2021년 시즌 중국 슈퍼리그는 8월 하순부터 11월까지 장기중단될 것이다. 리그 플레이오프는 2021년 12월에 시작해서 2022년 1월 3일에 끝날 것이다.
중국 갑급리그(중국 2부리그) 2021년 시즌 우승팀과 2위팀이 2022년 시즌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할 것이다.
최종 15위팀과 16위팀은 중국 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중국 갑급리그 최종 3위팀과 4위팀과 홈앤어웨이 방식으로 맞대결하게 되고, 2경기 합산 승자가 중국 슈퍼리그 2022 시즌에 잔류하거나 승격하고 패자는 중국 갑급리그 2022년 시즌으로 강등되거나 잔류할 것이다.
|
| ||||||||
2021년 시즌 전, 중국축구협회는 모든 프로축구팀에게 팀 명칭에서 회사/기업 이름을 제거하라고 명령하였다.[4]
- 광저우 푸리 → 광저우 시티[5]
- 허난 젠예 → 뤄양 룽먼[6]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광저우[7]
- 산동 루넝 타이산 → 산둥 타이산[8]
- 상하이 상강 → 상하이 하이강[9]
- 장쑤 쑤닝 → 장쑤
- 칭다오 황하이 → 칭다오
- 톈진 터다 → 톈진 진먼후
2020년 12월 29일, 2021년 중국 슈퍼리그(1부), 갑급리그(2부), 을급리그(3부)의 진행방식과 일정 초안이 발표되었다. 초안은 2021년 3월 11일 개막, 11월 28일 리그 종료였으나, 코로나19 대유행이 중국에서 재유행 우려가 있어서 수정안으로 4월 20일 리그 개막, 12월 5일 리그 종료로 다시 수정되었다. 2021년 시즌에도 완전한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리그를 진행하지 못하므로 3단계로 중립리그경기로 진행할 것이다.:
- 제1단계(4월 20~7월 30일, 6월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기간 일시 중단):2020년 시즌 진행 방식에 따라 모든 슈퍼리그 팀들이 양대 리그(2개조로 분할)로 2020년 시즌 성적에 따라 조편성 후 더블라운드 중립경기로 진행한다. 각 팀별 경기수는 14경기이다.(제1~14라운드);
- 제2단계(8월 10일~9월 21일):제1단계 A조 1~4위팀들이 B조 5~8위팀들과, B조 1~4위팀들이 A조 5~8위팀들과 맞대결하여 더블라운드 중립경기로 진행한다. 1단계에서 같은 조였던 팀끼리 맞대결하지 아니한다. 각 팀별 경기수는 8경기이다.(제15~22라운드);
- 제3단계(10월 26일~12월 5일):제1단계 A조 1~4위팀들이 B조 1~4위팀들과, A조 5~8위팀들이 B조 5~8위팀들과 맞대결하여 더블라운드 중립경기로 진행한다. 1단계에서 같은 조였던 팀끼리 맞대결하지 아니한다. 각 팀별 경기수는 8경기이다.(제23~30라운드)
이상 총 30라운드로 진행하며, 순위는 30 라운드 이후의 총점에 따라 정해지며 이는 본질적으로 기존의 더블 라운드 로빈 시스템과 같다.
2022년 시즌부터,중국 슈퍼리그는 총 18개팀으로 확대될 것이다. 2021년 시즌말에 슈퍼-갑급 리그 승강 폭은“승격 2+0.5+0.5 팀、강등 0.5+0.5 팀”이다. 즉, 중국 갑급리그 2021 시즌 우승팀과 2위팀은 2022년 중국 슈퍼리그에 직행승격하고、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슈퍼리그 15위팀 대 갑급리그 4위팀, 슈퍼리그 16위팀 대 갑급리그 3위팀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맞대결하여 승자가 슈퍼리그로 승격/잔류하고 패자가 갑급리그로 강등/잔류할 것이다.。
2021시즌 중국 슈퍼리그 참가 팀
팀 | 감독 | 연고도시 | 홈경기장 | 관중수용규모 | 2020년 시즌 순위 |
---|---|---|---|---|---|
광저우 | ![]() |
광저우 | 톈허 스타디움 | 54,856 | 2위 |
베이징 궈안 | ![]() |
베이징 |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 센터 | 31,043 | 3위 |
상하이 하이강 | ![]() |
상하이 | 푸동축구장 | 33,765 | 4위 |
산둥 타이산 | ![]() |
지난 |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6,808 | 5위 |
충칭 량장 징지 | ![]() |
충칭 |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8,680 | 6위 |
상하이 선화 | ![]() |
상하이 | 훙커우 경기장 | 33,000 | 7위 |
허베이 | ![]() |
랑팡 | 랑팡 경기장 | 33,572 | 8위 |
허난 쑹산 룽먼 | ![]() |
정저우 | 정저우 항하이 경기장 | 29,860 | 9위 |
톈진 진먼후 | ![]() |
톈진 | 톈진 올림픽 센터 스타디움 | 10위 | |
광저우 시티 | ![]() |
광저우 | 웨슈산 경기장 | 18,000 | 11위 |
다롄 프로 | ![]() |
다롄 | 다롄 스포츠 센터 경기장 | 61,000 | 12위 |
선전 | ![]() |
선전 |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 센터 | 60,334 | 13위 |
칭다오 | ![]() |
칭다오 | 칭다오 궈신 경기장 | 45,000 | 14위 |
우한 FC | ![]() |
우한 | 우바이 스포츠 센터 | 30,000 | 15위(승강PO 승리로 잔류) |
창저우 슝스 | ![]() |
창저우 | 창저우 경기장 | 31,836 | 16위 (강등 취소) |
창춘 야타이 승격 ![]() |
![]() |
창춘 | 창춘 경기장 | 38,500 | CL1, 우승 |
# | 직할시/성 | 클럽 수 | 클럽 |
---|---|---|---|
1 | 징(京)/진(津)/지(冀) | 3 | 베이징 궈안, 창저우 슝스, 허베이(랑팡) |
2 | 광동 성 | 3 | 광저우, 광저우 시티, 선전 |
3 | 상하이 | 2 | 상하이 선화, 상하이 하이강 |
4 | 산둥 성 | 2 | 산둥 타이산, 칭다오 |
5 | 랴오닝 성 | 1 | 다롄 프로 |
5 | 저장 성 | 1 | 저장 프로 |
5 | 지린 성 | 1 | 창춘 야타이 |
5 | 충칭/쓰촨 성 | 1 | 충칭 량장 징지 |
5 | 허난 성 | 1 | 허난 쑹산 룽먼 |
5 | 후베이 성 | 1 | 우한 FC |
중국 슈퍼리그 2021 시즌용 중립 구장
[편집]
쑤저우 구장 (정규 리그 A조, 하위조)
[편집]
리그구 | 경기장 | 도시 | 관중수용규모 |
---|---|---|---|
A조Ⅰ | 쑤저우 올림픽 체육중심 쑤저우 올림픽 체육중심 보조구장 |
쑤저우 | 40,933 |
A조Ⅱ | 쑤저우시 체육중심 | 쑤저우 | 35,000 |
A조Ⅲ | 쿤샨 체육중심 | 쑤저우 | 30,000 |
A조Ⅳ | 강음체육중심 | 쑤저우 | 35,000 |
광저우 구장 (정규 리그 B조, 상위조)
[편집]
리그구 | 경기장 | 도시 | 관중수용규모 |
---|---|---|---|
B조Ⅰ | 천하체육장 | 광저우 | 54,856 |
B조Ⅱ | 웨시우산(월수산) 체육장 | 광저우 | 18,000 |
B조Ⅲ | 광저우 대학성 체육장 | 광저우 | 37,784 |
B조Ⅳ | 화도구 체육장 | 광저우 | 13,395 |
- 굵은 글씨체 선수들은 시즌 중 선수이적기간에 등록된 선수를 뜻한다.
Team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선수 4 | 선수 5 | 귀화선수들 | 홍콩/마카오/ 대만 선수들1 |
2군 선수들 | 이전 선수들(시즌 중 이적) |
---|---|---|---|---|---|---|---|---|---|
베이징 궈안 | ![]() |
![]() ![]() ![]() ![]() |
![]() ![]() ![]() ![]() ![]() ![]() | ||||||
창저우 슝스 | ![]() |
![]() |
![]() |
![]() ![]() ![]() | |||||
창춘 야타이 | ![]() |
![]() |
![]() |
![]() |
![]() |
![]() ![]() ![]() | |||
충칭 량장 징지 | ![]() |
![]() |
![]() |
![]() ![]() | |||||
다롄 프로 | ![]() |
![]() |
![]() |
![]() |
![]() | ||||
광저우 | ![]() ![]() |
![]() ![]() ![]() ![]() ![]() ![]() ![]() ![]() ![]() ![]() ![]() ![]() | |||||||
광저우 시티 | ![]() |
![]() |
![]() |
![]() |
![]() |
![]() | |||
허베이 | ![]() |
![]() |
![]() |
![]() |
![]() ![]() ![]() ![]() | ||||
허난 쑹산 룽먼 | ![]() |
![]() |
![]() |
![]() |
![]() |
![]() |
|||
칭다오 | ![]() |
![]() |
![]() |
![]() |
![]() ![]() | ||||
산둥 타이산 | ![]() |
![]() |
![]() |
![]() |
![]() ![]() |
![]() ![]() | |||
상하이 선화 | ![]() |
![]() |
![]() |
![]() |
![]() |
![]() ![]() ![]() ![]() |
![]() | ||
상하이 하이강 | ![]() |
![]() |
![]() |
![]() |
![]() |
![]() | |||
선전 | ![]() |
![]() |
![]() |
![]() |
![]() |
![]() |
|||
톈진 진먼후 | ![]() |
![]() |
![]() |
![]() |
|||||
우한 줘얼 | ![]() |
![]() |
![]() ![]() ![]() ![]() |
- ^1 홍콩, 마카오, 또는 대만 선수들을 위해, 만일 그들이 귀화되지 않았고 그들이 최초로 홍콩, 마카오, 중화타이페이(대만) 축구협회에 프로축구선수로 등록되었으면, 그들은 내국인 선수로 본다. 그외엔 그들은 외국인 선수로 인식된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산둥 타이산 (C) | 22 | 15 | 6 | 1 | 47 | 16 | +31 | 51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
2 | 상하이 하이강 | 22 | 13 | 6 | 3 | 42 | 14 | +28 | 45 | |
3 | 광저우 | 22 | 13 | 5 | 4 | 47 | 17 | +30 | 44 | |
4 | 창춘 야타이 | 22 | 11 | 6 | 5 | 31 | 20 | +11 | 39 | |
5 | 베이징 궈안 | 22 | 9 | 6 | 7 | 26 | 28 | −2 | 33 | |
6 | 선전 | 22 | 9 | 5 | 8 | 33 | 29 | +4 | 32 | |
7 | 광저우 시티 | 22 | 7 | 8 | 7 | 32 | 31 | +1 | 29 | |
8 | 허베이 | 22 | 6 | 7 | 9 | 15 | 28 | −13 | 25 | |
9 | 상하이 선화 | 22 | 10 | 7 | 5 | 34 | 22 | +12 | 37 | |
10 | 허난 쑹산 룽먼 | 22 | 7 | 9 | 6 | 19 | 20 | −1 | 30 | |
11 | 창저우 슝스 | 22 | 6 | 6 | 10 | 25 | 32 | −7 | 24 | |
12 | 톈진 진먼후 | 22 | 5 | 6 | 11 | 18 | 35 | −17 | 21 | |
13 | 충칭 량장 징지 | 22 | 5 | 5 | 12 | 21 | 36 | −15 | 20[a] | 시즌 종료 후 해체. |
14 | 우한 줘얼 | 22 | 3 | 11 | 8 | 23 | 30 | −7 | 20[a] | |
15 | 다롄 프로 (Q, R) | 22 | 6 | 1 | 15 | 21 | 37 | −16 | 19 |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 |
16 | 칭다오 (Q, R) | 22 | 3 | 2 | 17 | 13 | 52 | −39 | 11 | 시즌 종료 후 해체. |
- 시즌중: 1) 승점; 2) 골득실차; 3) 다득점.
- 시즌 최종: 1) 승점; 2) 승자승 승점; 3) 승자승 골득실차; 4) 승자승 다득점; 5) Scores of the weight ratio of the reserve league and youth leagues.
(C) 우승;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R) 강등.
비고:
A조 전경기들이 중화인민공화국 광동성 광저우에서 개최될 것이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산둥 타이산 | 14 | 10 | 3 | 1 | 30 | 10 | +20 | 33 | 챔피언십 단계 진출 |
2 | 광저우 | 14 | 9 | 3 | 2 | 39 | 14 | +25 | 30 | |
3 | 선전 | 14 | 7 | 3 | 4 | 24 | 18 | +6 | 24 | |
4 | 광저우 시티 | 14 | 5 | 6 | 3 | 21 | 21 | 0 | 21 | |
5 | 허난 쑹산 룽먼 | 14 | 4 | 6 | 4 | 13 | 14 | −1 | 18 | 강등 단계 진출 |
6 | 충칭 량장 징지 | 14 | 3 | 2 | 9 | 16 | 28 | −12 | 11 | |
7 | 창저우 슝스 | 14 | 2 | 4 | 8 | 13 | 23 | −10 | 10 | |
8 | 칭다오 | 14 | 2 | 1 | 11 | 6 | 34 | −28 | 7 |
출처: CSL
순위 결정방식:
- 시즌중: 1) 승점; 2) 전체 골득실차; 3) 전체 다득점
- 시즌후: 1) 승점; 2)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1단계); 3)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2단계); 4) 동률팀간 다득점(승자승 3단계); 5) 2군(B팀)과 유스 리그의 무게비율의 점수
원정 홈 |
광주대 | 광주성 | 산둥 | 선전 | 창저우 | 충칭 | 칭다오 | 허난 |
광저우 | 2–2 | 2–1 | 2–0 | 5–2 | 3–1 | 5–0 | 2–0 | |
광저우 시티 | 3–3 | 1–3 | 2–4 | 0–0 | 3–1 | 4–2 | 1–1 | |
산둥 타이산 | 1–0 | 0–0 | 4–2 | 2–1 | 3–1 | 2–0 | 2–0 | |
선전 | 2–1 | 0–1 | 2–2 | 2–1 | 2–1 | 0–0 | 0–0 | |
창저우 슝스 | 0–2 | 0–2 | 0–2 | 2–1 | 1–1 | 2–0 | 0–0 | |
충칭 량장 징지 | 1–5 | 4–0 | 0–2 | 0–3 | 2–2 | 1–0 | 3–2 | |
칭다오 | 0–6 | 0–1 | 0–5 | 1–4 | 2–1 | 1–0 | 0–1 | |
허난 송산룽먼 | 1–1 | 1–1 | 1–1 | 1–2 | 2–1 | 1–0 | 2–0 |
2021년 8월 11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어)
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팀 / 라운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산둥 타이산 | 1 | 1 | 2 | 1 | 1 | 1 | 1 | 1 | 3 | 1 | 1 | 1 | 1 | 1 |
광저우 | 4 | 5 | 3 | 2 | 2 | 2 | 2 | 2 | 1 | 3 | 2 | 2 | 2 | 2 |
선전 | 2 | 3 | 5 | 4 | 4 | 3 | 3 | 3 | 2 | 2 | 3 | 3 | 3 | 3 |
광저우 시티 | 4 | 2 | 1 | 3 | 3 | 4 | 4 | 4 | 5 | 4 | 4 | 4 | 4 | 4 |
허난 쑹산 룽먼 | 6 | 6 | 7 | 7 | 7 | 6 | 5 | 5 | 4 | 5 | 5 | 5 | 5 | 5 |
충칭 량장 징지 | 8 | 8 | 8 | 6 | 6 | 7 | 7 | 8 | 6 | 6 | 6 | 6 | 6 | 6 |
창저우 슝스 | 6 | 6 | 6 | 8 | 8 | 8 | 8 | 7 | 8 | 7 | 7 | 7 | 7 | 7 |
칭다오 | 2 | 3 | 4 | 5 | 5 | 5 | 6 | 6 | 7 | 8 | 8 | 8 | 8 | 8 |
마지막 업데이트: 2021년 8월 11일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중국 슈퍼리그 공식 사이트 결과]
B조 전경기들이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쑤저우에서 개최될 것이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창춘 야타이 | 14 | 8 | 4 | 2 | 23 | 11 | +12 | 28[a] | 챔피언십 단계 진출 |
2 | 상하이 하이강 | 14 | 8 | 4 | 2 | 30 | 7 | +23 | 28[a] | |
3 | 베이징 궈안 | 14 | 7 | 3 | 4 | 19 | 16 | +3 | 24 | |
4 | 허베이 | 14 | 6 | 5 | 3 | 12 | 11 | +1 | 23 | |
5 | 상하이 선화 | 14 | 6 | 4 | 4 | 21 | 17 | +4 | 22 | 강등 단계 진출 |
6 | 우한 줘얼 | 14 | 1 | 8 | 5 | 11 | 19 | −8 | 11 | |
7 | 톈진 진먼후 | 14 | 2 | 3 | 9 | 11 | 29 | −18 | 9 | |
8 | 다롄 프로 | 14 | 2 | 1 | 11 | 12 | 29 | −17 | 7 |
출처: CSL
순위 결정방식:
- 시즌중: 1) 승점; 2) 전체 골득실차; 3) 전체 다득점
- 시즌후: 1) 승점; 2)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1단계); 3)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2단계); 4) 동률팀간 다득점(승자승 3단계); 5) 2군(B팀)과 유스 리그의 무게비율의 점수
비고:
원정 홈 |
다롄 | 베이징 | 하이강 | 선화 | 우한 | 창춘 | 톈진 | 허베이 |
다롄 프로 | 0–1 | 0–5 | 2–4 | 1–1 | 1–2 | 1–0 | 0–1 | |
베이징 궈안 | 2–0 | 1–1 | 4–2 | 2–1 | 2–1 | 0–0 | 2–1 | |
상하이 하이강 | 3–0 | 3–1 | 1–0 | 3–0 | 0–0 | 5–0 | 1–0 | |
상하이 선화 | 3–2 | 2–1 | 1–1 | 0–0 | 1–2 | 1–0 | 0–0 | |
우한 | 2–1 | 0–2 | 0–0 | 1–3 | 2–2 | 1–1 | 1–1 | |
창춘 야타이 | 3–1 | 2–0 | 2–1 | 1–0 | 0–0 | 0–0 | 3–0 | |
톈진 진먼후 | 1–3 | 3–1 | 1–6 | 1–3 | 2–1 | 1–4 | 0–1 | |
허베이 | 1–0 | 0–0 | 1–0 | 1–1 | 1–1 | 2–1 | 2–1 |
2021년 8월 15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어)
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팀 / 라운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창춘 야타이 | 2 | 3 | 4 | 5 | 3 | 5 | 3 | 2 | 3 | 2 | 2 | 2 | 2 | 1 |
상하이 하이강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2 |
베이징 궈안 | 6 | 8 | 5 | 4 | 2 | 4 | 5 | 5 | 5 | 4 | 4 | 5 | 5 | 3 |
허베이 | 4 | 4 | 3 | 3 | 5 | 3 | 4 | 4 | 2 | 3 | 3 | 4 | 4 | 4 |
상하이 선화 | 2 | 2 | 2 | 2 | 4 | 2 | 2 | 3 | 4 | 5 | 5 | 3 | 3 | 5 |
우한 | 4 | 5 | 6 | 7 | 8 | 7 | 7 | 6 | 6 | 7 | 6 | 8 | 6 | 6 |
톈진 진먼후 | 8 | 6 | 7 | 8 | 6 | 6 | 6 | 7 | 7 | 8 | 8 | 6 | 7 | 7 |
다롄 프로 | 6 | 7 | 8 | 6 | 7 | 8 | 8 | 8 | 8 | 6 | 7 | 8 | 8 | 8 |
마지막 업데이트: 2021년 8월 15일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중국 슈퍼리그 공식 사이트 결과]
챔피언십(우승조) 전경기들이 중화인민공화국 광동성 광저우에서 개최될 것이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승격,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산둥 타이산 (C) | 22 | 15 | 6 | 1 | 47 | 16 | +31 | 51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
2 | 상하이 하이강 | 22 | 13 | 6 | 3 | 42 | 14 | +28 | 45 | |
3 | 광저우 | 22 | 13 | 5 | 4 | 47 | 17 | +30 | 44 | |
4 | 창춘 야타이 | 22 | 11 | 6 | 5 | 31 | 20 | +11 | 39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5 | 베이징 궈안 | 22 | 9 | 6 | 7 | 26 | 28 | −2 | 33 | |
6 | 선전 | 22 | 9 | 5 | 8 | 33 | 29 | +4 | 32 | |
7 | 광저우 시티 | 22 | 7 | 8 | 7 | 32 | 31 | +1 | 29 | |
8 | 허베이 | 22 | 6 | 7 | 9 | 15 | 28 | −13 | 25 |
출처: CSL, Soccerway
순위 결정방식: 1) 승점; 2)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1단계); 3)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2단계); 4) 동률팀간 다득점(승자승 3단계); 5) 예비 리그 승점; 6) 전경기 골득실차; 7) 전경기 다득점; 8) 벌점 (각 경고 당 1점, 각 퇴장 당 3점); 9) 추첨
(C) 우승.
원정 홈 |
광주대 | 광주성 | 산둥 | 선전 | 하이강 | 창춘 | 베이징 | 허베이 |
광저우 | 0–0 | 2–0 | 1–0 | 1–1 | ||||
광저우 시티 | 1–2 | 0–2 | 5–0 | 2–1 | ||||
산둥 타이산 | 2–2 | 2–1 | 2–1 | 2–0 | ||||
선전 | 1–3 | 0–1 | 0–1 | 3–0 | ||||
상하이 하이강 | 1–0 | 1–0 | 0–2 | 3–1 | ||||
창춘 야타이 | 0–2 | 2–1 | 1–1 | 1–1 | ||||
베이징 궈안 | 1–0 | 1–1 | 1–1 | 2–2 | ||||
허베이 | 0–2 | 1–1 | 0–5 | 0–1 |
2022년 1월 4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어)
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팀 / 라운드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산둥 타이산 | 1 | 1 | 1 | 1 | 1 | 1 | 1 | 1 | 1 |
상하이 하이강 | 4 | 2 | 2 | 3 | 3 | 3 | 3 | 3 | 2 |
광저우 | 2 | 4 | 4 | 2 | 2 | 2 | 2 | 2 | 3 |
창춘 야타이 | 3 | 3 | 3 | 4 | 4 | 4 | 4 | 4 | 4 |
베이징 궈안 | 6 | 5 | 5 | 6 | 6 | 6 | 6 | 6 | 5 |
선전 | 5 | 6 | 6 | 5 | 5 | 5 | 5 | 5 | 6 |
광저우 시티 | 8 | 8 | 8 | 7 | 7 | 7 | 7 | 7 | 7 |
허베이 | 7 | 7 | 7 | 8 | 8 | 8 | 8 | 8 | 8 |
|}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4일
출처: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 슈퍼리그 공식 사이트
강등 리그 단계(강등조) 전경기들이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쑤저우에서 개최될 것이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9 | 상하이 선화 | 22 | 10 | 7 | 5 | 34 | 22 | +12 | 37 | |
10 | 허난 송산룽먼 | 22 | 7 | 9 | 6 | 19 | 20 | −1 | 30 | |
11 | 창저우 슝스 | 22 | 6 | 6 | 10 | 25 | 32 | −7 | 24 | |
12 | 톈진 진먼후 | 22 | 5 | 6 | 11 | 18 | 35 | −17 | 21 | |
13 | 충칭 량장 징지 | 22 | 5 | 5 | 12 | 21 | 36 | −15 | 20[a] | |
14 | 우한 줘얼 | 22 | 3 | 11 | 8 | 23 | 30 | −7 | 20[a] | |
15 | 다롄 프로 (Q, R) | 22 | 6 | 1 | 15 | 21 | 37 | −16 | 19 |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 |
16 | 칭다오 (Q, R) | 22 | 3 | 2 | 17 | 13 | 52 | −39 | 11 |
- During season: 1) 승점; 2) 골득실차; 3) 다득점.
- After season: 1) 승점; 2) 승자승 승점; 3) 승자승 골득실차; 4) 승자승 다득점; 5) Scores of the weight ratio of the reserve league and youth leagues.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R) 강등.
비고:
원정 홈 |
창저우 | 충칭 | 칭다오 | 허난 | 다롄 | 상하이 선화 | 우한 | 톈진 |
창저우 슝스 | 2–0 | 1–1 | 2–0 | 2–1 | ||||
충칭 량장 징지 | 0–1 | 0–0 | 0–0 | 0–1 | ||||
칭다오 | 1–2 | 0–1 | 2–5 | 0–1 | ||||
허난 | 1–0 | 2–0 | 1–0 | 1–1 | ||||
다롄 프로 | 1–2 | 0–1 | 4–1 | 1–0 | ||||
상하이 선화 | 1–1 | 4–1 | 3–0 | 3–0 | ||||
우한 FC | 4–2 | 1–2 | 1–1 | 1–1 | ||||
톈진 진먼후 | 1–0 | 1–1 | 1–2 | 0–0 |
2022년 1월 3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sports.sina.com.cn/csl/fixtures/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어)
색상: 파랑 = 홈팀 승; 노랑 = 무승부; 빨강 = 원정 팀 승.
팀 / 라운드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상하이 선화 | 9 | 9 | 9 | 9 | 9 | 9 | 9 | 9 | 9 |
허난 쑹산 룽먼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창저우 슝스 | 13 | 13 | 14 | 12 | 12 | 11 | 11 | 11 | 11 |
톈진 진먼후 | 14 | 15 | 15 | 15 | 15 | 14 | 15 | 13 | 12 |
충칭 량장 징지 | 12 | 12 | 13 | 14 | 14 | 15 | 13 | 14 | 13 |
우한 FC | 11 | 11 | 11 | 11 | 11 | 12 | 12 | 12 | 14 |
다롄 프로 | 15 | 14 | 12 | 13 | 13 | 13 | 14 | 15 | 15 |
칭다오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16 |
|}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3일
출처: Results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hinese Super League 중국 슈퍼리그 공식 사이트
2022년 시즌부터 중국 슈퍼리그는 총 18개팀 체제로 확대될 것이다. 2021년 시즌 말에 "승격 2+0.5+0.5、강등 0.5+0.5”정책을 실시할 것이다. 즉, 중국 갑급리그 2021 우승팀과 2위팀은 2022 시즌 중국 슈퍼리그로 바로 승격하고、중국 슈퍼리그 15위와 16위팀이 중국 갑급리그 3위팀과 4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맞대결하여 승자가 슈퍼리그에 승격/잔류하고 패자가 갑급리그로 강등/잔류할 것이다.。 슈퍼리그 15위는 중국 갑급리그 2021 4위팀과, 슈퍼리그 16위는 갑급리그 3위팀과 중국 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최종 승리 시 잔류하고, 패배 시 강등한다. 슈퍼리그 팀을 기준으로 1차전을 원정 경기, 2차전을 홈 경기로 치른다.
클럽 | 자격 | 결과 | 클럽 | 자격 | 결과 |
---|---|---|---|---|---|
다롄 프로 | 중국 슈퍼리그 2021 시즌 15위 | 강등 | 칭다오 FC | 중국 슈퍼리그 2021 시즌 16위 | 강등 |
청두 룽청 | 중국 갑급리그 2021 시즌 4위 | 승격 | 저장 프로 | 중국 갑급리그 2021 시즌 3위 | 승격 |
1차전 2022년 1월 8일 (토) | 청두 룽청 (중갑 4위) | 1 - 1 | 다롄 런 (중초 15위) | 강음체육장, 쑤저우 | |
15:30 UTC+8 | 펠리페 ![]() |
![]() |
관중 수: 0 (무관중경기) 심판: 리하이허 | ||
2차전 2022년 1월 12일 (수) | 다롄 런 (중초 15위) | 0 - 1 | 청두 룽청 (중갑 4위) | 강음체육장, 쑤저우 | |
UTC+8 | ![]() |
관중 수: 0 (무관중경기) | |||
청두 룽청이 총 2-1 스코어로 이겨서 중국 슈퍼리그 2022 시즌으로 승격하였다.
다롄 런은 중국 갑급리그 2022 시즌으로 강등되었다.
1차전 2022년 1월 8일 (토) | 칭다오 FC (중초 16위) | 0 - 1 | 저장 프로 (중갑 3위) | 쑤저우 올림픽체육중심, 쑤저우 | |
UTC+8 | ![]() |
관중 수: 0 (무관중경기) 심판: 마리 | |||
2차전 2022년 1월 12일 (수) | 저장 프로 (중갑 3위) | 0 - 0 | 칭다오 FC (중초 16위) | 쑤저우 올림픽체육중심, 쑤저우 | |
15:30 UTC+8 | 관중 수: 0 (무관중경기) | ||||
저장 프로가 총 1-0 스코어로 이겨서 중국 슈퍼리그 2022 시즌으로 승격하였다.
칭다오 FC는 중국 갑급리그 2022 시즌으로 강등되었다.
9 - 13 球
排名 | 축구선수 | 축구팀 | 골수 | 골수 |
---|---|---|---|---|
1 | ![]() |
창춘 야타이 | 13 | 1 |
2 | ![]() |
광저우 | 11 | 1 |
3 | ![]() |
산둥 타이산 | 9 | 1 |
![]() |
산둥 타이산 | 9 | ||
![]() |
선전 | 9 | 3 |
4 - 8 球
排名 | 球员 | 球队 | 进球 | 点球 |
---|---|---|---|---|
6 | ![]() |
北京国安 | 8 | 1 |
7 | ![]() |
广州 | 7 | |
![]() |
上海海港 | 7 | ||
![]() |
广州城 | 7 | ||
10 | ![]() |
广州 | 6 | 1 |
![]() |
广州城 | 6 | 2 | |
12 | ![]() |
北京国安 | 5 | 2 |
![]() |
武汉 | 5 | ||
![]() |
广州城 | 5 | 1 | |
![]() |
河南嵩山龙门 | 5 | 3 | |
![]() |
大连人 | 5 | 1 | |
![]() |
上海申花 | 5 | 3 | |
![]() |
长春亚泰 | 5 | ||
![]() |
武汉 | 5 | 3 | |
![]() |
广州 | 5 | ||
21 | ![]() |
上海海港 | 4 | |
![]() |
上海申花 | 4 | 1 | |
![]() |
河北 | 4 | ||
![]() |
北京国安 | 4 | 2 | |
![]() |
深圳 | 4 | ||
![]() |
上海海港 | 4 | 2 | |
![]() |
武汉 | 4 | ||
![]() |
沧州雄狮 | 4 | ||
![]() |
河南嵩山龙门 | 4 | ||
![]() |
山东泰山 | 4 | 1 |
2 - 3 球
1 球
乌龙球
球员 | 球队 | 进球 | 比赛 |
---|---|---|---|
![]() |
广州 | 1 | 2021年4月20日对广州城 |
![]() |
深圳 | 1 | 2021年5月2日对广州 |
![]() |
河南嵩山龙门 | 1 | 2021年7月21日对广州城 |
![]() |
青岛 | 1 | 2021年7月24日对沧州雄狮 |
![]() |
深圳 | 2 | 2021年7月27日对青岛 2021年8月8日对沧州雄狮 |
![]() |
武汉 | 1 | 2021年8月9日对上海海港 |
![]() |
上海申花 | 1 | 2021年8月15日对北京国安 |
![]() |
河南嵩山龙门 | 1 | 2021年12月18日对武汉 |
주차(라운드) | MVP | |
---|---|---|
선수 | 소속팀 | |
1R[10] | ![]() |
상하이 선화 |
2R[11] | ![]() |
산둥 타이산 |
3R[12] | ![]() |
베이징 궈안 |
4R[13] | ![]() |
광저우 |
5R | 평가 안함 | |
6R[14] | ![]() |
상하이 선화 |
7R[15] | ![]() |
창춘 야타이 |
8R[16] | ![]() |
베이징 궈안 |
9R[17] | ![]() |
광저우 |
10R[18] | ![]() |
산둥 타이산 |
11R[19] | ![]() |
산둥 타이산 |
12R[20] | ![]() |
산둥 타이산 |
13R[21] | ![]() |
톈진 진먼후 |
14R[22] | ![]() |
산둥 타이산 |
15R[23] | ![]() |
상하이 하이강 |
16R[24] | ![]() |
산둥 타이산 |
17R[25] | ![]() |
산둥 타이산 |
18R[26] | ![]() |
허난 쑹산룽먼 |
19R[27] | ![]() |
산둥 타이산 |
20R[28] | ![]() |
광저우 FC |
21R[29] | ![]() |
광저우 FC |
22R[30] | ![]() |
톈진 진먼후 |
- ↑ 关于正确使用联赛全名称的函 (중국어)
- ↑ 中国平安4年6亿冠名中超 三大层面助力中国足球
- ↑ 重磅!中超联赛版权卖出5年80亿天价
- ↑ “Renaming rules spell dilemma for Super League teams”. China Daily. 2020년 12월 7일. 2020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广州富力正式改名:广州城!一座广州城 一生广州城”. Sina Sports. 2020년 12월 18일.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河南建业官方宣布拟更名为洛阳龙门足球俱乐部”. Sina Sports. 2020년 12월 31일. 2020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广州恒大淘宝俱乐部完成了企业名称变更手续 新名称广州足球俱乐部”. Dongqiudi. 2021년 1월 9일. 2021년 1월 9일에 확인함.
- ↑ “鲁能官方:经足协审核,同意使用山东泰山足球俱乐部为中性名”. Dongqiudi. 2021년 1월 13일. 2021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手续完成,上海上港已更名为“上海海港足球俱乐部””. Dongqiudi. 2021년 1월 14일. 2021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一轮最佳球员,@上海申花足球俱乐部 莫雷诺”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4월 25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二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费莱尼”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5월 1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三轮最佳球员,@北京国安足球俱乐部 张稀哲”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5월 7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四轮最佳球员,@广州足球俱乐部 蒋光太”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5월 13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六轮最佳球员,@上海申花足球俱乐部 赵明剑”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7월 21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七轮最佳球员,@长春亚泰足球俱乐部 谭龙”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7월 24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八轮最佳球员,@北京国安足球俱乐部 张玉宁”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17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九轮最佳球员,@广州足球俱乐部 杨立瑜”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7월 30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郭田雨”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2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一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段刘愚”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5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二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费莱尼”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8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0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三轮最佳球员,@天津津门虎足球俱乐部 石炎”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11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四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郭田雨”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8월 14일. 202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五轮最佳球员,@上海海港足球俱乐部 奥斯卡”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15일. 2021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六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孙准浩”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18일.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七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孙准浩”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21일. 2021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八轮最佳球员,@河南嵩山龙门足球俱乐部 多拉多”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24일.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十九轮最佳球员,@山东泰山足球俱乐部 费莱尼”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28일. 2021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二十轮最佳球员,@广州足球俱乐部 谭凯元”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1년 12월 31일. 2022년 1월 2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二十一轮最佳球员,@广州足球俱乐部 郑智”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2년 1월 3일. 2022년 1월 3일에 확인함.
- ↑ “2021中国平安#中超联赛# 第二十二轮最佳球员,@天津津门虎足球俱乐部 谢维军” (중국어). 中超联赛官方微博. 2022년 1월 5일.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