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wikipedia.org

"intitle:"위나라""에 대한 검색 결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위 (삼국)의 섬네일

    받아 후한을 멸하고 위나라를 건국한다. 그러나 조씨 세력은 249년 고평릉 사변에서 사마씨에게 실권을 내주었고, 원제 조환이 사마염에게 선양하며 45년의 짧은 역사로 그 끝을 맺는다. 중국 대륙이 삼국으로 분할되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위나라가 국력에서 다른 두 나라...

    14 KB (1,010 단어) - 2025년 3월 24일 (월) 18:58

  • 조인의 섬네일

    조인(曹仁, 168년 ~ 22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효(子孝)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다. 조조와 6촌 형제이다. 초반부터 조조를 따라 많은 공을 세웠으며 조조도 그 용기와 지략을 중히 여겼다. 주로 형주 전선을 담당하며 주유, 관우...

    13 KB (1,214 단어) - 2024년 6월 3일 (월) 11:05

  • 하후돈의 섬네일

    다른 장수들이 모두 위나라 관직을 받을 때 혼자만 여전히 한나라 관직이었다. 이는 신하의 예에 어긋난다며 상소했다. 조조가 “듣건대 신하란 스승 같은 자가 최선이요 벗 같은 자가 차선이라 했으니 무릇 그 덕만 귀히 여기면 되오. 어찌 구구한 위나라 관직에 연연하시오?”라고...

    12 KB (990 단어) - 2025년 2월 21일 (금) 02:07

  • 하후연의 섬네일

    하후연(중국어 정체자: 夏侯淵, 간체자: 夏侯渊, 병음: Xiàhóu Yuān 샤허우위안[*], ?~219년 1월)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이다. 자는 묘재(중국어: 妙才, 병음: Miàocái 먀오차이[*])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다. 재빠르고 과감한...

    13 KB (1,218 단어) - 2025년 2월 15일 (토) 16:11

  • 문빙(文聘, ? ~ ?)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중업(仲業)이며 형주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다. 수십 년간 강하를 안정적으로 지켜냈다. 본디 형주목 유표의 대장으로서 형주 북방을 지켰다. 208년(건안 13년) 유표의 후계자 유종이 형주를 들어 조조에게...

    5 KB (425 단어) - 2024년 6월 4일 (화) 10:10

  • 위 후폐제 조모(魏 後廢帝 曹髦, 241년 ~ 260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 254년~260년)로, 자는 언사(彦士)이다. 명제의 이복 동생이기도 한 동해정왕의 아들로, 정권을 장악한 사마씨 일당에 반발하다가 시해되었다. 황제가 되기 전에는...

    4 KB (226 단어) - 2025년 2월 10일 (월) 20:36

  • 악진의 섬네일

    악진(樂進, ? ~ 218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문겸(文謙)이며 동군 위현(衛縣) 사람이다. 오자양장 중의 한 명으로서 맹활약하였다. 몸이 작고 담력이 있었다. 조조 밑에서 장하리(帳下吏)로서 따랐다. 양평에서 천여 명을 모병하고 돌아와 군가사마(軍假司馬)...

    8 KB (750 단어) - 2025년 3월 3일 (월) 09:45

  • 위 원황제 조환(魏 元皇帝 曹奐, 246년 ~ 302년)은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마지막 황제로, 자는 경명(景明)이다. 연왕 조우의 아들로, 전임 고귀향공이 시해된 후 황제로 추대되었다. 본래 이름은 황(璜)이었는데, 민간에서 흔히 쓰이는 글자였기 때문에, 피휘의 번거로움을...

    4 KB (200 단어) - 2025년 2월 10일 (월) 20:28

  • 허저의 섬네일

    허저(許褚, ? ~ ?)는 후한 ~ 위나라의 무장으로 자는 중강(仲康)이며 예주 초국(譙國) 초현(譙縣) 사람이다. 호치(虎癡)란 별명이 있다. 우월한 완력과 우직한 성품으로 조조의 신임을 받아 그 경호를 맡았으며 용맹을 떨쳤다. 후한 말 수천 명으로 자경단을 조직해...

    9 KB (765 단어) - 2024년 6월 3일 (월) 23:14

  • 조홍 (삼국지)의 섬네일

    패국에서 조홍이 아니었다면 오늘도 없었다’라 하였다. 《북제서》에서 청하왕 고악(高岳)에 대해 논할 때 종실의 공신으로 한나라의 유고와 위나라의 조홍을 언급하였다. 재산이 흘러넘쳐 준마를 떼로 길렀다. 조조가 동탁을 치던 중 말을 잃자 타고 있던 말 고니[白鵠]를 넘겨주었다...

    17 KB (1,537 단어) - 2025년 3월 3일 (월) 09:44

  • 서황의 섬네일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다. 양봉 휘하에 있다가 조조에게 귀순한 후 맹활약하여 오자양장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번성 전투에서 관우를 물리쳐 절체절명의 위기에...

    16 KB (1,527 단어) - 2024년 10월 25일 (금) 13:54

  • 맹달의 섬네일

    위나라의 장군으로 사례 우부풍 사람이다. 자는 자도(子度)이다. 원래는 자경(子敬)이었는데 유비 숙부의 이름을 피휘하여 바꾸었다. 기근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익주에서 생활하였다. 유비 휘하에서 상용 공략에 공을 세웠음에도 관우의 패사, 유봉과의 불화가 겹쳐 위나라로...

    14 KB (1,296 단어) - 2025년 3월 3일 (월) 09:45

  • 공손연이나 아직 나이가 어려 그 자리는 작은아버지 공손공이 승계하였다. 228년(태화 2년) 숙부를 위협하여 요동태수를 차지하였다. 위나라 황제 조예는 이를 추인하고 양렬장군(揚烈將軍)을 얹어주었다. 229년 오나라 황제 손권이 교위(校尉) 장강(張剛)과 관독(管篤)을...

    10 KB (846 단어) - 2024년 9월 23일 (월) 21:17

  • 조창 (조위)의 섬네일

    위 임성왕 조창(魏 任城王 曹彰, 189년~223년)은 후한 말의 무장이자 조위의 제후왕으로 자는 자문(子文)이다. 조조의 넷째 아들로, 무선황후의 소생 중에서 둘째이다. 수염이 금발이라서 사람들이 황수아(黃鬚兒)라 불렀는데, 힘이 장사이고 조조의 아들들 중에 무예가 유난히...

    4 KB (379 단어) - 2025년 1월 6일 (월) 08:21

  • 깎아내리는 데 쓰였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도 있다. 아무튼 그럼에도 조조는 그를 무척 신임했고 그도 조조를 위해 계책을 아끼지 않았기에 위나라의 뛰어난 참모로 평가되고 있다. 조조 사후, 조비로부터 공(재상)으로 임명되자마자 80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삼국지 인물 목록 정곽동유장유전(程郭董劉蒋劉傳)...

    6 KB (600 단어) - 2025년 3월 3일 (월) 13:06

  • 장료의 섬네일

    장료(중국어 정체자: 張遼, 간체자: 张辽, 병음: Zhāng Liáo 장랴오[*], 169년~222년)는 중국 후한 말과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원(중국어 정체자: 文遠, 간체자: 文远, 병음: Wényuǎn 원위안[*])이다. 초반에 여러 세력을 전전하다가...

    23 KB (2,305 단어) - 2024년 6월 3일 (월) 08:43

  • 곽회(郭淮, ? ~ 255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백제(伯濟)이며 병주 태원군 양곡현(陽曲縣) 사람이다. 관서 지방에 뼈를 묻어 강족과 촉나라를 상대로 맹활약했다. 하후현의 뒤를 이어 관서 군대의 최고 책임자까지 올랐다. 건안 연간에...

    25 KB (2,475 단어) - 2024년 7월 15일 (월) 13:04

  • 방덕의 섬네일

    ”라 욕하고 의연히 최후를 맞았다. 조조가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고 방덕의 자식 둘을 열후(列侯)에 봉했다. 220년(연강 원년) 위나라의 왕위를 이은 조비가 장후(壯侯)란 시호를 내리고 방회 등 아들 네 명을 관내후(關內侯)에 봉하고 식읍 100호를 붙여주었다. 매...

    12 KB (1,079 단어) - 2024년 6월 3일 (월) 20:48

  • 위 (전국)의 섬네일

    많았던 나라이다. 갑병 30만과, 말 오천 필, 전차 육백 승을 낼 수 있었다. 전국7웅중 국토가 월경지가 있는 유일한 나라이다. 위나라의 시조는 주 무왕(周武王)의 동생인 필공 고(畢公高)이다. 아버지 주 문왕을 비롯한 주나라의 역대 군주들이 묻쳐 있는 왕릉이 있는...

    10 KB (772 단어) - 2024년 5월 16일 (목) 21:01

  • 조와 제, 초, 위(魏)의 압박을 받았고, 기원전 241년에는 진(秦)이 위(魏)를 침공하면서 위나라의 영토인 제구(帝丘) 주변에 동군(東郡)을 설치하고 야왕현(野王縣)에 위나라를 옮김으로써 위는 사실상 진나라의 속국이 되었다. 위 원군의 아들 위군 각은 기원전 209년...

    4 KB (263 단어) - 2024년 3월 17일 (일) 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