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wikipedia.org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013 EAFF Women's East Asian Cup
개최국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개최기간7월 20일 ~ 7월 27일
참가팀 (1개 대륙)
경기장본선 서울잠실화성
예선 선전조냐
결과
3위 대한민국
4위중국 중화인민공화국
통계
최다 득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허은별
대한민국 지소연
최우수 선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은주

« 2010

2015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여자 동아시안컵의 제4회 대회이다. 2005년부터 동아시안컵에 여자부 대회가 별도로 창설되어 추후의 동아시안컵에서는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가 모두 열린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남자부 대회로는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이 있다.

대회는 1라운드, 2라운드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1라운드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2012년 7월 21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2라운드중국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당해 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했다.

결승 대회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2010년 7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1라운드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2012년 7월 21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는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열렸다.

레오 팔라스 리조트
괌 조냐
수용인원: N/A명

  2라운드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홍콩 홍콩 6 2 2 0 0 15 3 +12
2 괌 3 2 1 0 1 9 4 +5
3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0 2 0 0 2 0 17 -17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차전

3차전

득점상 MVP
홍콩 (No.13) 응잉금 홍콩 (No.3) 청웨이키

2라운드중국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당해 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EAFF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했다.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2라운드는 중국선전 경기장(선전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선전 경기장
중국 선전
수용인원: 32,500명

  결승 대회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9 3 3 0 0 10 1 +9
2 오스트레일리아 6 3 2 0 1 12 2 +10
3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 3 1 0 2 2 10 -8
4 홍콩 홍콩 0 3 0 0 3 1 12 -11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차전

3차전

득점상 MVP
오스트레일리아 (No.12) 케이트 길 중국 (No.11) 푸웨이

결승 대회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2010년 7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서울월드컵경기장(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C 서울 홈구장), 화성종합운동장(화성 FC 홈구장) 및 서울올림픽주경기장(서울 이랜드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서울월드컵경기장 화성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화성 대한민국 서울
수용인원: 66,704명 수용인원: 35,270명 수용인원: 69,950명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 3 2 1 0 3 1 +2
2 일본 4 3 1 1 1 3 2 +1
3 대한민국 3 3 1 0 2 4 5 -1
4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3 3 1 0 2 2 4 -2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차전

3차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제4대 동아시아 챔피언 (1회 우승)
2013년
순위 국가 경기 승점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1 0 3 1 +2 7
2 일본 3 1 1 1 3 2 +1 4
3 대한민국 3 1 0 2 4 5 -1 3
4 중국 중화인민공화국1 3 1 0 2 2 4 -2 3
▲ 결승 대회 진출
5 오스트레일리아 3 2 0 1 12 2 +10 6
6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 1 0 2 2 10 -8 3
7 홍콩 홍콩2 3 0 0 3 1 12 -11 0
▲ 2라운드 진출
8 괌 2 1 0 1 9 4 +5 3
9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2 0 0 2 0 17 -17 0
▲ 1라운드 진출
  1. 2라운드에서 우승한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2. 1라운드에서 우승한 홍콩 홍콩의 경우 2라운드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득점상 MVP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3) 허은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8) 김은주

선수 득점 기록

[편집]

팀 득점 기록

[편집]

팀 실점 기록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