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27B1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Google Patents
- ️Mon Dec 03 2018
KR101924327B1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Google Patents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4327B1 KR101924327B1 KR1020170054040A KR20170054040A KR101924327B1 KR 101924327 B1 KR101924327 B1 KR 101924327B1 KR 1020170054040 A KR1020170054040 A KR 1020170054040A KR 20170054040 A KR20170054040 A KR 20170054040A KR 101924327 B1 KR101924327 B1 KR 101924327B1 Authority
- KR
-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 microwave sensor
- user
- signal
- alarm
- unit Prior art date
- 2017-04-27
Links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8501 Cheyne-Stokes respi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797 obstructive sleep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116 sleep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685 sleep-wak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부착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이격되어 설치된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각각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제1 신호가 제2 신호보다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강한 경우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사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알람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comprising: a first microwave sensor attached to a space where a sleep surface is formed; A second microwave sensor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respectively; And a determination unit compar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ing that there is a person in a space where the sleeping occurs when the first signal is stron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ving body signal can be sensed by using a microwav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present, and an alarm function can be ope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센싱하며, 수면중인 사람이 깨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wave sensor capable of sensing a movement of a person using a microwave sensor, And an alarm system using the same.
사람은 인생의 1/3을 잠자는데 소비한다. 잠은 하루 생활의 긴장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이완시키고 재충전시켜 몸과 정신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숙면은 육체와 정신을 충전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숙면을 위한 과학적인 접근 방법 및 알람은 아주 중요하다 할 수 있다.A person spends 1/3 of his life sleeping. Sleep can relax and rejuvenate stress from day to day life and restore body and mind. Therefore, slee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illing the body and mind, and scientific approaches and alarms for sleep can be very important.
이 중에서, 아침을 깨우는 알람의 기본형식은 청각 자극인 '소리'에 의존하고 있다. 알람시계는 1787년 미국의 레비 헛친스가 발명한 이후 계속 유지되고 있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알람방식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청각적인 자극으로 사용자를 자극하기 때문에 깊은 숙면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기상이 된 상태에서도 스트레스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거나 회복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Of these, the basic form of the alarm to wake up morning depends on the auditory stimulus 'sound'. The alarm clock has been maintained since the invention of Levi Huntsis in the United States in 1787. However, since the alarm method that stimulates the auditory sense of the user does not refl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it stimulates the user by simply stimulating the auditory stimulus,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user who is in a deep sleep state. Fatigue may accumulate or may not recov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알람방식 대신에,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하는 알람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후각을 자극하는 알람방식을 구현하는 향기액 분무장치는, 향기 분무를 제어할 수 있는 칩을 내장할 수 있지만, 이러한 후각과 같은 알람의 제공 방식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상태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를 깊은 잠에서 효과적으로 깨우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n alarm system for stimulating a user's nose has been developed instead of an alarm system for stimulating a user's hearing. A perfume spray apparatus that implements an alarm system for stimulating the olfactory sense may include a chip capable of controlling the perfume spray. However, even in the case of providing such an olfactory alarm, the user's state is not considered This makes it difficult to effectively awaken a user from a deep sleep.
한편,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이 가능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동작 원리는 마이크로파 신호가 움직이는 물체에 반사될 때, 도플러 효과로 인해 신호의 주파수가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일정한 주기를 갖고 움직이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게 유지되나 위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센싱되는 신호를 통하여 심장박동 또는 호흡의 속도와 같은 생명징후에 대해서 원격 비침습성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tilization of microwave sensors capable of sensing according to human motion is increas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a microwave sensor is that when the microwave signal is reflected on a moving object, the frequency of the signal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velocity of the object due to the Doppler effect. That is, the frequency of a signal reflected from a moving object with a constant period remains the same but the phase changes with time. By using this method, the microwave sensor can detect the state of the user by detecting non-invasive vital signs such as heart rate or respiration rate through the sensed signal.
하지만, 이와 같은 알람기능 및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수면상태에 따른 적절한 알람을 제공하는데 어려운 측면이 있다.However, since the alarm function and the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biological sig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appropriate alarm according to the current sleep state of the user.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2249호, 2012년 08월 21일)(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92249, August 21,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사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알람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capable of sensing an existence of a person by sensing a human bio-signal using a microwave sensor and operating an alarm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은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부착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이격되어 설치된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로부터 각각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제1 신호가 제2 신호보다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강한 경우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icrowave sensor attached to a space where a sleep surface is formed; A second microwave sensor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respectively; And a determination unit compar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ing that there is a person in a space where the sleeping occurs when the first signal is stron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별부는 제1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제2 신호 세기보다 강한 경우,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tensity of the first signal is higher than the second signal intensity by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space where the sleep surface is form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별부가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소리, 빛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space where the water surface is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t least one of sound, light, and smell.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강한 세기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생체 신호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iological signal discrimin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o-signal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a human bio-signal by using a microwave sensor that compares the intensities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generates a signal having a strong intensit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있는 방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microwav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room in the space where the sleep surface is form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은 침대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ce where the sleep surface is made may be a bed.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여 사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알람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The alarm system using the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n existence of a person by sensing a human bio-signal using a microwave sensor and operate an alarm func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시스템도 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 on "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a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target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본 명세서에서 수면중이라 함은 실제 수면 여부를 떠나서 침대 등과 같이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사람이 일정 시간 이상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sleeping " means that a person i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pace where sleeping occurs, such as a bed, apart from actual sleep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시스템도 이며,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FIG. 1 is a system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10)은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 수신부(210) 및 판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n alarm system 10 using a microwav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icrowave sensor 110, a second microwave sensor 120, a receiving unit 210 And a discrimination unit 220. The discrimination unit 220 discriminates between the discrimination unit 220 and the discrimination unit 220. [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움직이는 물체에 신호가 반사될 때, 도플러 효과로 인해 신호의 주파수가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것을 감지한다. 즉,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움직이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게 유지되나 위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사람의 심장박동 또는 호흡과 같은 생명징후의 신호를 원격의 비침습성으로 검출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도면에 미표시되었으나, 외부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Microwave sensors sense that when a signal is reflected back to a moving object, the frequency of the signal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velocity of the object due to the Doppler effect. That is, the microwave sensor uses the fact that the frequency of a signal reflected from a moving object with a constant period remains the same but the phase changes with time. Using this method, the microwave sensor can detect non-invasive remotely signals of vital signs such as human heartbeat or respiration. Although the microwave senso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obvious that the microwave sensor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는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센싱한다. 이때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은 침대(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침대(B)를 예로서 설명한다.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가 침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를 적절하게 센싱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양한 곳에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is attached to a space where the water surface is formed to sense a user's signal. In this case, the space where the water surface is formed may be a bed (B). Hereinafter, the bed (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but may be arranged in various places as long as the user can appropriately sense the position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는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에 이격배치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센싱한다.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to sense a user's signal.
다만,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와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는 서로 이격배치될 때에,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와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 중 하나가 수신부(210)를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신부(210)를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중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파장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침대에 위치하는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와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210,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to be biased to one side about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velength is shif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he user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is located on the 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sensor is composed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but a microwave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를 위해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는 침대에 설치되고,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는 도어(D)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수신부(210)는 침대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사람의 위치에 따라 파장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침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is installed on the be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is installed on the door D, and the receiving unit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on the bed.
수신부(210)는 무선통신으로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로부터 각각 제1 신호(A) 및 제2 신호(B)를 수신한다. 즉, 수신부(210)는 TX(Tranmitter)-RX(Receiver)를 통하여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로부터 각각 수신한 제1 신호(A) 및 제2 신호(B)를 판별부(220)로 송신하게 된다.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first signal A and the second signal B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respectiv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first signal A and the second signal (both received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through a TX (Transmitter) -RX B to the determination unit 220. [
수신된 각각의 신호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제1 신호(A)의 크기가 크며, 사용자가 깨어서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는 제2 신호(B)가 커지게 된다.Each received signal is different in siz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hat is, the first signal A is large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bed, and the second signal B is large when the user wakes up and goes outside.
판별부(220)는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A) 및 제2 신호(B)의 세기를 비교하여 제1 신호(A)가 제2 신호(B)보다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강한 경우 침대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부(240)를 통하여 알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0)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20)를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중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침대에 있는 경우에 제1 신호(A)가 제2 신호(B)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determination unit 220 compares the intensity of the first signal A and the intensity of the second signal B received from the receiver 21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ignal A is higher than the second signal B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on the bed and the alarm is activated through the alarm unit 24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iving unit 210 is bias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microwave sensor 110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120, when the user is in bed, the first signal (A) and the second signal (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침대에 취침중인 사용자는 수면중에 화장실을 가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침대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황에서 제2 신호(B)의 크기는 제1 신호(B)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때에, 판별부(220)는 제2 신호(B)가 상대적으로 커진 경우, 이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침대에 잠시 자리를 비운 것인지 아닌지에 따라 알람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a user sleeping in a bed may temporarily leave the bed to go to the bathroom during sleep. In this situation, the size of the second signal B become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signal B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temporarily moves.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signal (B) becomes relatively large, the determination unit 220 checks the occurrence time of the ev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alarm is activated or not based on whether the user has left the bed for a while or not .
따라서, 제2 신호(B)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만 커지게 되면, 사용자가 침대에 돌아온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내를 초과하여 침대로 돌아오지는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완전히 깨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이 자동으로 울리지 않도록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알람시간 전에 미리 기상한 경우에 알람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된다.Therefore, if the size of the second signal B becomes large only within the set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r returns to the bed and the alarm is activated at the time set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oes not return to the bed beyond the set time,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completely awake and can be released so that the alarm does not automatically sound. Therefore, when the user preliminarily wakes up before the alarm time, there is no need to take an additional action to cancel the alarm.
생체 신호판별부(230)는 제1 신호(A)와 제2 신호(B)의 세기를 비교하여 강한 세기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생체 신호를 판단한다. 즉, 제1 신호(A) 또는 제2 신호(B)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장박동 및 호흡 상태 등을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있을 때에 정상적인 생체환경에 놓여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알람부(240)에 구비되는 소리 알람부(243)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고, 보호자 등의 무선단말기(M)에게 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상황 가운데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The vital sig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a human vital sign using a microwave sensor that compares the intensities of the first signal A and the second signal B and generates a signal having a strong intensity. That is, the strength of the first signal A or the second signal B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user's heartbeat and respiration state.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 normal living environment when the user is in a sleeping state. I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user is out of a preset value, an alarm is provided through the sound alarm unit 243 provided in the alarm unit 240,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to the wireless terminal M By providing alarms, you can inform the user that you are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이를 통하여 수면 장애의 한 형태인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 체인스톡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CSR) 등과 같은 수면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수면중에 호흡이 멈추어서 사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allows people with sleep disorder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OS) and Cheyne-Stokes Respiration (CSR), a type of sleep disorder, to stop breathing during sleep and lead to death .
알람부(240)는 판별부(220)가 침대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이 되면, 소리, 빛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알람부(240)는 빛 알람부(231), 소리알람부(242) 및 향기 알람부(243)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bed, the alarm unit 240 may generate an alarm by using at least one of sound, light, and fragrance at a time input by the user. To this end, the alarm unit 240 may include a light alarm unit 231, a sound alarm unit 242, and a perfume alarm unit 243.
알람은 먼저 빛을 이용한 빛 알람부(2310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빛 알람부(241)는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LED 모듈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배열 되어 빛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깊은 수면상태에서 편안한 기상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적층배열된 LED 모듈의 밝기가 최대로 밝아진 후에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LED 모듈을 반복적으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에 시각적인 자극을 더욱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각적인 자극은 단순한 청각 자극에 비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기상이 되도록 유도하여 기상 후에도 스트레스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alarm is firstly provided through a light alarm unit 2310 using light. The light alarm unit 241 may be provided as an LED module, and the LED module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tepwise If the user does not react to the alarm after the brightness of the stacked LED module is maximized, the LED module is repeatedly turned on by blinking the LED module to give the user a visual stimulus The visual stimulus can induce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as compared with the simple auditory stimulus, and the degree of stress can be reduced even after the weather.
한편, 판별부(220)는 빛 알람부(231)가 제공될 때에도 계속해서 사용자의 제1 신호(A)를 계속해서 센싱하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한다.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정상적인 상태이나 이러한 빛 알람(241)에도 사용자가 알람에 대해 반응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깊은 수면상태로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LED 모듈을 점멸하면서 소리 알람부(242)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단계적인 알람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순한 청각 자극에 비하여 편안한 기상을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적은 스트레스를 유발한 기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ight alarm unit 231 is provided, the determination unit 220 continuously senses the first signal A of the user while sensing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f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s in a normal state or the user does not react to the alarm even in such a light alarm 241,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eep sleep state, and the LED module is blinked to simultaneously provide the sound alarm unit 242 do. In this manner, when a stepwise alarm is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can induce comfortable weather as compared with a simple auditory stimulation, thereby making the user feel a stress that causes less stress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알람에 반응하여 깨어난 경우, 향기 알람부(243)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킴으로써 상쾌한 아침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향기는 아로마와 같이 피로경감을 유도하면서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awakened in response to the alarm, the fragrance alarm unit 243 is provide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 thereby guiding the user to a refreshing morning. The fragrance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relieve stress while inducing relief of fatigue like arom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0), 판별부(220), 생체신호 판별부(230) 및 알람부(240)는 하우징(250)에 마련되어 하나의 알람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해서 전원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하우징(250)의 전면부에는 현재 시각 및 알람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시간 셋팅은 물리적인 버튼(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사용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셋팅될 수도 있다.3, the receiving unit 210, the discriminating unit 220, the biological signal discriminating unit 230, and the alarm unit 24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50 and may be formed of a single alarm device. It is obvious that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provided for the same operation.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260 can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250 to confirm the current time and the alarm time. The time setting may be entered via a physical button (not shown) or may be set vi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또한, 제1 마이크로 센서(110)는 알람장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 및 조합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first micro sensor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arm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and the combination thereof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120 :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210 : 수신부
220 : 판별부
230 : 생체신호 판별부
240 : 알람부
241 : 빛 알람부
242 : 소리 알람부
243 : 향기 알람부 110: first microwave sensor
120: second microwave sensor
210:
220:
230: biological signal discrimination unit
240:
241: Light alarm part
242: Sound alarm section
243: Fragrance alarm part
Claims (6)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으로서,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배치된 침대 모서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상기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이격 설치되며, 상기 수면을 이루는 공간의 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호를 센싱하는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상기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및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중 한쪽으로 편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제1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서 획득한 신호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제2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서 획득한 신호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제1 신호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강한 경우 사용자가 침대위에 있는 것을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부를 통해 수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빛 알람부, 소리 알람부 및 향기 알람부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구비하고,
상기 빛 알람부는 상기 빛 알람부, 소리 알람부 및 향기 알람부 중에서 우선제공하며,
LED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LED 모듈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배열 되어 빛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정하고, 적층배열된 상기 LED 모듈의 밝기가 최대로 밝아진 후에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을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인 자극을 유도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빛 알람부가 제공될 때에, 계속해서 사용자의 상기 제1 신호를 계속해서 센싱하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인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빛 알람부에 반응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깊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LED 모듈을 점멸하면서 상기 소리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추가 제공하며,
상기 향기 알람부는,
사용자가 알람에 반응하여 깨어난 경우, 아로마 향기를 제공하여 피로경감을 유도하면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만 커지게 되면, 사용자가 침대에 돌아온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내를 초과하여 침대로 돌아오지는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완전히 깨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이 자동으로 울리지 않도록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An alarm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A first microwave sensor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bed arranged in a space where the water surface is formed to sense a user's signal;
A second microwave sensor installed at a door of the space forming the wat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icrowave sensor to sense a user's signal;
A first microwave sensor and a second microwave sensor, the first microwave sensor and the second microwave sensor being disposed in a biased manner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microwave sensor to receive a first signal from a signal acquired by the first microwave sensor, A recei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second microwave sensor to receive a second signal from a signal acquired by the second microwave sensor; And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a magnitude of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with that of the second signal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on the bed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signal is stron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n alarm unit for providing a light alarm unit, a sound alarm unit and a fragrance alarm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space where the sleeping is performed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The light alarm part first provides the light alarm part, the sound alarm part and the fragrance alarm part,
The LED module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is adjusted step by step and when the user does not react to the alarm after the brightness of the stacked LED module is maximized, The module flashes repeatedly to induce visual stimulation of the user,
Wherein,
When the light alarm unit is provided, the user continues to sense the first signal to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living body signal is normal. If the user does not react to the light alarm unit even when the living body signal is normal ,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deep sleep state and the alarm module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e sound alarm part while blinking the LED module,
The fragrance alarm unit,
When a user awakens in response to an alarm, it provides aroma fragrance to alleviate stress while inducing fatigue relief,
If the size of the second signal is increas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regarded that the user returns to the bed and the alarm is activated at the time set by the user. If the user does not return to the bed beyond the set time , The alarm is canceled so that the user is completely awake and the alarm is not automatically turned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040A KR101924327B1 (en) | 2017-04-27 | 2017-04-27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PCT/KR2017/004572 WO2018199364A1 (en) | 2017-04-27 | 2017-04-28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 sens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040A KR101924327B1 (en) | 2017-04-27 | 2017-04-27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2052A KR20180122052A (en) | 2018-11-12 |
KR101924327B1 true KR101924327B1 (en) | 2018-12-03 |
Family
ID=6391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040A KR101924327B1 (en) | 2017-04-27 | 2017-04-27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4327B1 (en) |
WO (1) | WO2018199364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1863B1 (en) | 2019-06-24 | 2020-10-29 | 최은호 | Wake up alarm system and wake up alarm methods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1180B1 (en) * | 2019-06-03 | 2020-01-29 | 화인시스템(주) | Smart sensor for energy control of buildings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3466A (en) | 2000-06-02 | 2001-12-14 | Toto Ltd | Human-body detecting device |
JP2002311154A (en) | 2001-04-13 | 2002-10-23 | Optex Co Ltd | Microwave sensor |
JP2006053069A (en) | 2004-08-12 | 2006-02-23 | Seiko Precision Inc | Human body de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
US20100204587A1 (en) | 2007-07-10 | 2010-08-12 |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Wavelength Divis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oppler Radar Vital Sign Monitoring and Mechanical Vibration Monitoring |
EP1139187B1 (en) | 2000-02-22 | 2010-10-27 | Boris Eis | Wake up method and device |
JP2012517293A (en) | 2009-02-06 | 2012-08-02 | ビアンカメッド リミテッド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hronic disease monitoring |
US20140163343A1 (en) | 2006-06-01 | 2014-06-12 |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s |
KR101720295B1 (en) * | 2015-10-21 | 2017-03-28 | 레이져라이팅(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ionic signal based wireless networ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5531U (en) * | 2013-05-29 | 2013-08-22 | 株式会社ソキエ | Support system for disabled facilities |
JP6233837B2 (en) * | 2013-11-19 | 2017-11-22 |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 Sleep stage determination device, sleep stage determination program, and sleep stage determination method |
JP6589352B2 (en) * | 2015-04-17 | 2019-10-16 | 富士通株式会社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sensor unit,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
KR101901601B1 (en) * | 2016-07-23 | 2018-09-27 | 윤효섭 | Alarm control method of the alarm device having a motioon sensor |
-
2017
- 2017-04-27 KR KR1020170054040A patent/KR10192432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04-28 WO PCT/KR2017/004572 patent/WO201819936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39187B1 (en) | 2000-02-22 | 2010-10-27 | Boris Eis | Wake up method and device |
JP2001343466A (en) | 2000-06-02 | 2001-12-14 | Toto Ltd | Human-body detecting device |
JP2002311154A (en) | 2001-04-13 | 2002-10-23 | Optex Co Ltd | Microwave sensor |
JP2006053069A (en) | 2004-08-12 | 2006-02-23 | Seiko Precision Inc | Human body de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
US20140163343A1 (en) | 2006-06-01 | 2014-06-12 |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s |
US20100204587A1 (en) | 2007-07-10 | 2010-08-12 |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Wavelength Divis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oppler Radar Vital Sign Monitoring and Mechanical Vibration Monitoring |
JP2012517293A (en) | 2009-02-06 | 2012-08-02 | ビアンカメッド リミテッド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hronic disease monitoring |
KR101720295B1 (en) * | 2015-10-21 | 2017-03-28 | 레이져라이팅(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ionic signal based wireless networ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1863B1 (en) | 2019-06-24 | 2020-10-29 | 최은호 | Wake up alarm system and wake up alarm method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99364A1 (en) | 2018-11-01 |
KR20180122052A (en) | 2018-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30959B2 (en) | 2023-08-22 | Apparatus and method for button-free control of a wearab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using interactive gestures and other means |
US10492721B2 (en) | 2019-12-03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nd monitoring sleep |
US8096960B2 (en) | 2012-01-17 | Easy wake device |
CN102483610B (en) | 2013-12-11 | Alarm c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ake-up alarm |
US20170367591A1 (en) | 2017-12-28 | Wear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wc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comfort and longer wear |
KR20170068205A (en) | 2017-06-19 | Scheme for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biological information |
CN104968122A (en) | 2015-10-07 | Intelligent system of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adjusting through wearable device |
JP4678309B2 (en) | 2011-04-27 | Bed detection device |
EP3706859B1 (en) | 2023-07-26 | Nocturia reduction system |
KR101924327B1 (en) | 2018-12-03 | Alarm system using microwave-sensor |
KR101975384B1 (en) | 2019-05-07 | Robot caring solitaries, system and method for caring solitaries using the same |
KR101765659B1 (en) | 2017-08-08 | Sleep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CA2902247A1 (en) | 2014-08-28 | Device for detecting an unhealthy situation of a person lying down, in particular anti-snoring device |
JP2002372593A (en) | 2002-12-26 | Awakening device |
KR101595981B1 (en) | 2016-02-24 | Alarm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ossing and turning |
JP4268068B2 (en) | 2009-05-27 | Security device with sleep detection |
WO2017119332A1 (en) | 2017-07-13 | Sleep enhancing device |
ITCZ20010005A1 (en) | 2002-10-12 |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 OR OTHER HUMAN AND ANIMAL PHYSIOLOGICAL FUNCTIONS |
CN118337547A (en) | 2024-07-12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
TW201516591A (en) | 2015-05-01 | Alarm clock by combining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expiration and method of the same |
JP2006081876A (en) | 2006-03-30 | Automatic doze preventing band |
KR20040035542A (en) | 2004-04-29 | Digital clock that can light 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2017-04-27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2017-04-27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7 |
2017-04-27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2018-03-09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2018-03-09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2018-04-18 | AMND | Amendment | |
2018-08-22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2018-08-22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2018-09-19 | AMND | Amendment | |
2018-09-19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2018-11-12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2018-11-21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2018-11-21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2018-11-27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2018-11-27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2018-11-27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2018-12-03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2021-09-17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2022-09-15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2023-09-14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2024-09-13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