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973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Google Patents
- ️Wed Aug 11 2004
KR20040070973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0973A KR20040070973A KR1020030007220A KR20030007220A KR20040070973A KR 20040070973 A KR20040070973 A KR 20040070973A KR 1020030007220 A KR1020030007220 A KR 1020030007220A KR 20030007220 A KR20030007220 A KR 20030007220A KR 20040070973 A KR20040070973 A KR 20040070973A Authority
- KR
-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communication terminal
- mobile communication
- service
- user Prior art date
- 2003-02-05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cleaning watercourses or other w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digging elements mounted on an endless chai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와 그 이면이 접촉하고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상에 상기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ple services,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a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un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by a hinge device;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its rear surface. 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rotatably coup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inge device and to be deploy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two or more services are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Description
본 발명은 3세대 WCDMA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물리적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는 멀티 RAB(Radio Access Bearer)의 WCDMA의 다중 서비스(Concurrent Service)를 위한 단말기의 듀얼 표시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rd generation WCDM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display unit of a terminal for multiple services (Concurrent Service) of WCDMA of a multi-radio access bearer (RAB) using one physical channel. will be.
현재의 2.5 세대까지의 CDMA 기술은 하나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이하나의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 다중 서비스(Concurrent Service)의 개념이 없다. 예를 들어, 현재의 서비스는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서비스 받고 있다면 동영상과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가입자가 동영상 서비스 등을 받으려면 음성 통화를 종료해야 한다.Current CDMA technology up to 2.5 generations means that one physical channel means one service, that is, there is no concept of multiple services. For example, the current service cannot receive packet data such as video if the subscriber is receiving a voice call, so the subscriber must terminate the voice call to receive the video service.
차후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 서비스가 시작되면 다중 서비스(Concurrent Service)가 지원될 것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예컨대, 화상 통화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the future, WCDMA service,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ll be supported by multiple service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with a video call service and an internet service simultaneously.
한편,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 표시부 구조는 하나의 메인 표시부와 하나의 프론트 표시부으로 이루어지고, 이동통신단말기는 프론트 표시부에 기본 정보 예컨대, 안테나 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론트 표시부는 사용자가 메인 표시부를 보지 않고도 메인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dual display unit structure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one main display unit and one front display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basic information such as antenna sensitivity, battery level,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front display unit. The front display serves as an assistant for allowing the user to know basic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without looking at the main display.
그런데, 이러한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에 WCDMA의 다중 서비스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어느 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다른 서비스가 시작되거나 시작하려고 하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는 그 새로운 서비스를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메인 표시부 디스플레이가 잠시 중단되어야 하거나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를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인터넷 웹 브라우징(Internet Web Browsing) 서비스를 통하여 웹 서핑(Web surfing)을 하고 있는중에 화상 전화가 가입자에게 걸려 온다면 사용자는 하나의 메인 표시부를 가지고 두 가지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의 진행을 사용자가 알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단말기 디스플레이 구조가 필요하다.However, if multiple WCDMA services are provided to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is using one service and another service starts or tries to start, the user receiving the service should know the new ser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y should be interrupted for a while or the service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should be stopped. For example, if a video call comes to the subscriber while the subscriber is web surfing through the Internet Web Browsing service, the user has difficulty using two services with one main display. There is no choice but to suffer. Therefore, a new terminal display structure is need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see the progress of various servi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듀얼 표시부 구조, 즉 하나의 메인 표시부와 하나의 프론트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구조를 개조하여 궁극적으로 프론트 표시부를 메인 표시부로 사용하게 하여 다중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apt the current dual display structur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ructure consisting of one main display unit and one front display unit to ultimately use the front display unit as the main display unit to smoothly provide multiple service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표시부를 장착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접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fold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와 그 이면이 접촉하고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상에 상기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ple services,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a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deplo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by a hinge device; 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rear surface thereof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splay unit by a hinge device, and when the two or more services are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rvic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듀얼 표시부를 장착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이 접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160)와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160)에 A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폴더(17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60)는 마이크로 폰이 내장된 송화부(120)와,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130)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170)는 상기 본체(160)와 대면하는 면에 제1 표시부(110)와, 스피커가 내장된 수화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폴더(170) 상의 제1 표시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60)에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60 with an axis A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160 and a hinge device. The folder 170 is provided. The main body 160 includes a talker unit 120 in which a microphone is built, and a keypad 130 formed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desired data by pressing. The folder 17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0 and a receiver 180 incorporating a speaker on a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160. The first display unit 110 on the first folder 1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deplo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by a hinge device.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상기 제1 폴더(170)에는 힌지 장치에 의해 B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2 폴더(17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폴더(1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0)와 제1 및 제2 폴더(170,172)가 접힌 경우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제2 표시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표시부(140)는 제1 표시부(110)와 그 이면이 접촉하고 힌지 장치에 의해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 폴더(172)는 제2 폴더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folder 17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older 170 by a hinge device with respect to the B axis.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folder 172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140 at a position that a user can see when the main body 160 and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170 and 172 are folded. The second display unit 140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unfol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splay unit by a hinge device. In addition, the second folder 172 may include a button 150 for opening or folding the second folder.
상기 제2 표시부(140)는 도 2에서와 같이 접힌 경우에 날짜, 시간, 배터리잔량표시, 아이콘, 안테나 수신 감도 등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2 표시부(140)에는 제1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서비스되는 영상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40 is folded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display unit 140 displays a date, a time, a battery remaining indication, an icon, an antenna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like. When one or more services ar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40, or the service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WCDMA의 다중 서비스(Concurrent Service)를 위하여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제2 표시부(140)는 프론트 표시부가 된다. 도 2의 상태에서 수동으로 제1 및 제2 폴더(170,172)를 펼치거나 버튼(150)을 동작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제2 표시부(140)는 힌지 장치에 의해 180도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서비스에 적합한 메인 표시부가 2개 구현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0 and a second display unit 140 for multiple services (Concurrent Service) of WCDMA. The second display unit 140 becomes a front display unit. In the state of FIG. 2, manually unfolding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170 and 172 or operating the button 15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1. Since the second display unit 140 can rotate 180 degrees by the hinge device, two main display units suitable for multiple services a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폴더의 열림이나 닫힘 상태의 감지에 따라 제1 및 제2 LCD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키패드(130)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first and second LCD driving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detection of an open or closed state of a folder. The keypad 130 ha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for dialing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부(15,17)는 제어부(10)의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 제어 신호를 받아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RF 처리부(20)는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센서(22)는 폴더의 열림(open)과 상기 폴더의 닫힘(close)상태를 검출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drivers 15 and 17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driving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ler 10 and drive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40. The RF processor 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into a wireless signal, demodulate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outputs it through a speaker. The sensor 22 detects the open of the folder and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경우; (1) 사용자가 보이스 AMR 이나 화상통화 같은 CS(Circuit Service) 를 이용하다가 VOD, 파일전송, 웹 브라우징 과 같은 PS(Packet Service)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2) 사용자가 보이스 AMR 이나 화상통화 같은 CS(Circuit Service) 를 이용하다가 VOD, 파일전송, 웹 브라우징과 같은 PS(Packet Service)를 받았을 경우, (3) 사용자가 VOD 나 파일전송, 웹 브라우징과 같은 PS(Packet Service)를 이용하다가 보이스 AMR 이나 화상통화 같은 CS(Circuit Service)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4) 사용자가 VOD 나 파일전송, 웹 브라우징과 같은 PS(Packet Service)를 이용하다가 보이스 AMR 이나 화상통화 같은 CS(Circuit Service)를 받았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0,140)를 모두 메인 표시부로서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When a user uses CS (Circuit Service) such as voice AMR or video call and wants to use PS (Packet Service) such as VOD, file transfer, web browsing, etc. When using CS (Circuit Service) and receiving PS (Packet Service) such as VOD, File Transfer, Web Browsing, (3) Voice AMR while user uses PS (Packet Service) such as VOD, File Transfer, Web Browsing If you want to use CS (Circuit Service) such as video call, (4) User has received CS (Circuit Service) such as voice AMR or video call while using PS (Packet Service) such as VOD, file transfer, web browsing. In this case, bot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10 and 140 are used as the main display unit.
제어부(10)는 제1 표시부(110)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다중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다중 서비스가 도달하였음을 알리도록 알람을 울리거나 LED를 깜박거리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제1 표시부(110)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다중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2 표시부(140)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거나, 서비스 받는 화면을 제공한다.When the first display 110 is not activated, that is, when the multi-service is received i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2, the controller 10 sounds an alarm or flashes an LED to notify the user that the multi-service has been reached. Keep away from it. In addition, when the first display 110 is activated, that is, when the multi-service is recei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10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on the second display 140 or receives a service. Provide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다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40)를 모두 활성화시키고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use multiple services, both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40 may be activated and a desired service may be provided.
한편, 도 1의 상태에서 제어부(10)는 다중 서비스 상태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표시부에 대한 메뉴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의 "메뉴"키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제1 표시부(110)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와 제2 표시부(140)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를 번갈아 가면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의 "메뉴"키를 누름으로써 제1 표시부(110)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와 제2 표시부(140)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를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 1의 상태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가 다중 서비스 상태에서 서비스의 종료를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종료"키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종료 메시지를 나타내는 팝업 윈도우를 각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40) 상에 번갈아 가면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 된 상태에서 "확인"키를 한번 더 누르면 해당 서비스를 종료시키는 것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state of FIG. 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user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whenever the user presses the “menu” key of the keypad once by the user for the menu operation of each display unit in the multi-service state. The interface menu and the user interface menu for the second display unit 140 are alternately activated.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d operate a user interface menu for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a user interface menu for the second display unit 140 by pressing the “menu” key of the keypad. Similarly, in the state of FIG. 1, the controller 10 may display a pop-up window indicating an end message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end" key once to enable the user to selectively terminate the service in the multi-service state.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40 alternately activate and press the "OK" key once more in the activated state to terminate the servic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표시부를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2개의 표시부를 모두 메인 표시부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세대 WCDMA의 다중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dual display unit, since both display units can be used as the main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vide the user with multiple services of the third generation WCDMA.
Claims (4)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ple service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표시부와,A first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a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un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by a hinge device; 상기 제1 표시부와 그 이면이 접촉하고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표시부와,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rear surface thereof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unfol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splay unit by a hinge device; 상기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상에 상기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rvices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two or more services are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다중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다중 서비스가 도달하였음을 알리도록 알람을 울리거나 LED를 깜박거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ing an alarm or blink an LED to notify the user that the multi-service has been received when the multi-service is received while the first display unit is not activ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의 "메뉴"키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제1 표시부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와 제2 표시부에 대한 유저인터페이스 메뉴를 번갈아 가면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lternately activates the user interface menu fo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user interface menu for the second display unit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menu" key of the keypad onc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다중 서비스시 사용자가 "종료"키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상기 각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상에 번갈아 가면서 종료 메시지를 나타내는 팝업 윈도우를 활성화하고 "확인"키를 한번 더 누르면 활성화된 팝업 윈도우가 있는 표시부 상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ctivates a pop-up window indicating an end message alternately on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end” key once in multiple services. Pressing the key once more terminates the servic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with the activated pop-up windo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220A KR20040070973A (en) | 2003-02-05 | 2003-02-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220A KR20040070973A (en) | 2003-02-05 | 2003-02-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0973A true KR20040070973A (en) | 2004-08-11 |
Family
ID=3735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7220A KR20040070973A (en) | 2003-02-05 | 2003-02-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70973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5075B1 (en) * | 2004-10-25 | 2006-05-03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phone with bluetooth keyboard |
KR100592182B1 (en) * | 2004-10-18 | 2006-06-26 | 주식회사 팬택 | 360 degree rotating clamshell terminal |
KR100689535B1 (en) * | 2005-07-13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
KR100690799B1 (en) * | 2005-06-09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with dual folders |
KR100836048B1 (en) * | 2005-11-04 | 2008-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3
- 2003-02-05 KR KR1020030007220A patent/KR2004007097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182B1 (en) * | 2004-10-18 | 2006-06-26 | 주식회사 팬택 | 360 degree rotating clamshell terminal |
KR100575075B1 (en) * | 2004-10-25 | 2006-05-03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phone with bluetooth keyboard |
KR100690799B1 (en) * | 2005-06-09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with dual folders |
KR100689535B1 (en) * | 2005-07-13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
KR100836048B1 (en) * | 2005-11-04 | 2008-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48243B1 (en) | 2004-06-08 | Folding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
EP1758345A1 (en) | 2007-02-28 |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
US20030171133A1 (en) | 2003-09-11 | Slide-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US7202906B2 (en) | 2007-04-10 | Key and button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
JP3428564B2 (en) | 2003-07-22 |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JP2003298699A (en) | 2003-10-17 | Slide-type portable telephone set |
JP2003229941A (en) | 2003-08-15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and hinge structure |
JP2005045580A (en) | 2005-02-17 | Foldable information processor |
JP2001024762A (en) | 2001-01-26 | Portable telephone set |
WO2007037404A1 (en) | 2007-04-05 | Portable terminal |
JP2003333149A (en) | 2003-11-21 | Mobile terminal device |
JP2007516628A (en) | 2007-06-21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olding and rotatable storage member |
KR20040070973A (en) | 2004-08-1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oncurrent service |
JP2004128780A (en) | 2004-04-22 | Cellular phone having key lock function |
JP2009105817A (en) | 2009-05-14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JP2004072285A (en) | 2004-03-04 | Mobile phone |
JP2001136095A (en) | 2001-05-18 | Foldable portable telephone set |
KR100983270B1 (en) | 2010-09-24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JP2003319036A (en) | 2003-11-07 |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
JP3609708B2 (en) | 2005-01-12 |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
EP1480417B1 (en) | 2006-07-19 |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
JP4101744B2 (en) | 2008-06-18 | Mobile terminal device |
JP2003169120A (en) | 2003-06-13 | Portable terminal device |
JP4527790B2 (en) | 2010-08-18 | Mobile terminal device |
JP2007096572A (en) | 2007-04-12 | Mobile phone and portable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2003-02-05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2003-02-05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5 |
2003-02-05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2004-08-11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2004-11-30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2004-11-30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2005-02-24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2005-02-24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