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ents.google.com

KR20090054718A -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 ️Mon Jun 01 2009

KR20090054718A -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718A
KR20090054718A KR1020070121543A KR20070121543A KR20090054718A KR 20090054718 A KR20090054718 A KR 20090054718A KR 1020070121543 A KR1020070121543 A KR 1020070121543A KR 20070121543 A KR20070121543 A KR 20070121543A KR 20090054718 A KR20090054718 A KR 2009005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display unit
display
activated
Prior art date
2007-11-27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카네다
유즈루 마스다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2007-11-27
Filing date
2007-11-27
Publication date
2009-06-01
2007-11-27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2007-11-27 Priority to KR102007012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718A/ko
2008-11-24 Priority to US12/276,830 priority patent/US8359072B2/en
2009-06-01 Publication of KR2009005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718A/ko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부각시켜 표시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갖는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1 표시부를 갖는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 외측의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마주보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듀얼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듀얼 스피커, 휴대 단말기, 표시부, 음, 스테레오

Description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floated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부가 전방으로 플로팅되어 보이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중요한 생활 필수품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 게임, 디지털 방송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폴더형(folder type)이나 슬라이드형(sliding type)의 휴대 단말기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전방에 설치된 표시부가 평면적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이 부각되지 못하여 시청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시청, 동영상 시청 또는 MP3 청취시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폴더형이나 슬라이드형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스피커는 휴대 단말기의 측면이나 후면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 등을 시청할 때, 음이 휴대 단말기의 측면이나 후면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음질의 음을 청취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방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부각시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갖는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1 표시부를 갖는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 외측의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마주보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듀얼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방에 표시부가 설치된 제 2 본체부가 제 1 본체부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제 2 본체부가 제 1 본체부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표시부가 떠올라 보이는 플로팅 효과(floating effect)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이 부각되어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듀얼 스피커가 표시부가 설치된 면쪽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부를 통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과 듀얼 스피커를 통하여 음이 출력되는 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본체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하여 영상을 보고, 듀얼 스피커를 통하여 앞쪽으로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본체부의 양쪽에 듀얼 스피커가 배치되면서 제 1 본체부 쪽으로 중량이 분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2 본체부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 단말기로서, 제 1 본체부(10), 제 2 본체부(20) 및 힌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본체부(10)는 제 1 면(11)과, 제 1 면(11)에 반대되는 제 2 면(13)을 가지며, 제 1 면(11)의 마주보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 듀얼 스피커(15)를 갖는다. 제 2 본체부(20)는 듀얼 스피커(15) 안쪽의 제 1 본체부(10)의 제 1 면(11)에 설치되며, 제 1 본체부(10)의 제 1 면(11)과 마 주보는 제 1 면(21)에 반대되는 제 2 면(23)에 설치된 제 1 표시부(25)를 갖는다. 그리고 힌지부(30)는 제 1 본체부(10)와 제 2 본체부(10)를 연결하며, 제 1 본체부(10)가 제 1 면(11)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 2 본체부(20)를 개폐시킨다. 이때 힌지부(30)는 듀얼 스피커(15) 중 한쪽에 근접한 제 2 본체부(20)의 일측과 제 1 본체부(10)를 연결한다.

제 1 본체부(10)의 듀얼 스피커(15)는 제 1 표시부(25)의 장변의 양쪽에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제 1 표시부(25)를 가로 모드로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100)를 돌려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듀얼 스피커(15)는 제 1 표시부(25)의 양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듀얼 스피커(15)를 통하여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제 1 본체부(10)는 제 1 면(11)에 키패드(17)와 마이크(19)가 설치되어 있다. 키패드(17)와 마이크(19)는 제 2 본체부(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본체부(20)에 의해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키패드(17)와 마이크(19)는 제 2 본체부(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본체부(20)는 제 2 본체부(20)의 제 1 면(21)에 설치되는 제 2 표시부(27)를 포함한다. 즉 제 2 본체부(20)는 양면 표시부(25, 27)를 갖는다. 제 2 본체부(20)는 힌지부(30)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이어피스(29)를 포함한다. 특히 제 2 본체부(20)는 제 1 본체부(10)의 길이보다 짧으며, 제 1 본체부(10)의 제 1 면(11)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 1 표시부(25)가 떠올라 보이는 플로팅 효과(floating effect)를 제공한다.

양면 표시부(25, 27)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 본체부(20)의 제 2 면(23), 즉 제 2 본체부(20)가 닫혀 있는 상태일 때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된 제 1 표시부(25)는 제 2 표시부(27)보다 상대적으로 화면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부(25)는 대형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LCD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표시부(27)는 소형 QCIF(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 LC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표시부(25, 27)가 동일한 크기와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1 표시부(25)는 디지털 방송 시청, 동영상 시청 또는 MP3 청취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표시부(27)는 통신 기능과 같은 일반적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통신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을 표시할 때, 제 1 표시부(25)는 가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표시부(27)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면 표시부(25, 27)가 반드시 이러한 모드 구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면 표시부(25, 27)의 화면은 동시에 켜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해, 한쪽 표시부가 켜지면 반대쪽 표시부는 꺼지도록 제어된다.

특히 제 2 본체부(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 1 표시부(25)가 활성화되어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할 때, 듀얼 스피커(15)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표시부(25)를 통하여 영상을 보고, 제 1 표시부(25)의 양쪽에 설치된 듀얼 스피커(15)를 통하여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본체부(20)가 열려 제 2 표시부(27)가 활성화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할 때, 이어피스(29)와 마이크(19)가 활성화된다.

한편 양면 표시부(25, 27)가 설치된 제 2 본체부(20)가 제 1 본체부(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제 2 본체부(20)에서 노출된 제 1 본체부(10)의 양쪽에 듀얼 스피커(15)가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 2 본체부(20)가 제 1 본체부(10)에 대해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 1 표시부(2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을 시청할 때, 제 1 표시부(25)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본체부(10)의 양쪽에 듀얼 스피커(15)가 배치되면서 제 1 본체부(10) 쪽으로 중량이 분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화시와 휴대 단말기(100)를 잡았을 때 휴대 단말기(100)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 1 표시부(25)가 설치된 제 2 본체부(20)가 제 1 본체부(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제 2 본체부(20)가 제 1 본체부(10)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제 1 표시부(25)가 떠올라 보이는 플로팅 효과(floating effect)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제 1 표시부(25)를 통하여 표시되는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이 부각되어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영상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듀얼 스피커(15)가 제 1 표시부(25)가 설치된 제 2 면(23)쪽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제 1 표시부(25)를 통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과 듀얼 스피커(15)를 통하여 음이 출력되는 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본체부(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표시부(25)를 통하여 영상을 보고, 듀얼 스피커(15)를 통하여 앞쪽으로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로서, 제 1 본체부(110), 제 2 본체부(120) 및 힌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본체부(110)는 제 1 면(111)과, 제 1 면(111)에 반대되는 제 2 면(113)을 가지며, 제 1 면(111)의 마주보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 듀얼 스피커(115)를 갖는다. 제 2 본체부(120)는 듀얼 스피커(115) 안쪽의 제 1 본체부(110)의 제 1 면(111)에 설치되며, 제 1 본체부(110)의 제 1 면(111)과 마주보는 제 1 면(121)에 반대되는 제 2 면(123)에 설치된 표시부(125)를 갖는다. 그리고 힌지부(130)는 제 1 본체부(110)와 제 2 본체부(120)를 연결하며, 제 1 본체부(110)가 제 1 면(111)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 2 본체부(120)를 개폐시킨다. 이때 힌지부(130)는 제 1 본체부(110)의 제 1 면(111)을 따라서 제 2 본체부(120)를 상하로 이동시켜 개폐하는 슬라이딩 한지부이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표시부(125)가 설치된 제 2 본체부(120)가 제 1 본체부(1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제 2 본체부(120)가 제 1 본체부(110)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표시부(125)가 떠올라 보이는 플로팅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표시부(125)를 통하여 표시되는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이 부각되어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부(125)에 표시되는 영상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듀얼 스피커(115)가 표시부(125)가 설치된 제 2 면(123)쪽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부(125)를 통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과 듀얼 스피커(115)를 통하여 음이 출력되는 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본체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125)를 통하여 영상을 보고, 듀얼 스피커(115)를 통하여 앞쪽으로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다.

제 1 본체부(110)의 듀얼 스피커(115)는 표시부(125)의 장변의 양쪽에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125)를 가로 모드로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200)를 돌려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듀얼 스피커(115)는 표시부(125)의 양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듀얼 스피커(115)를 통하여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제 1 본체부(110)는 제 1 면(111)에 키패드(117)와 마이크(119)가 설치되어 있다. 키패드(117)와 마이크(119)는 제 2 본체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본체부(120)에 의해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키패드(117)와 마이크(119)는 제 2 본체부(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본체부(120)의 표시부(125)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 본체부(120)는 제 2 면(123)에 설치된 이어피스(129)를 포함하며, 이어피스(129)는 표시부(125)의 위쪽에 설치된다.

특히 제 2 본체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표시부(125)가 활성화되어 멀티미디어 모드를 수행할 때, 듀얼 스피커(115)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25)를 통하여 영상을 보고, 표시부(125)의 양쪽에 설치된 듀얼 스피커(115)를 통하여 출력되는 고음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본체부(120)가 열려 표시부(125)가 활성화되어 통신 모드를 수행할 때, 이어피스(129)와 마이크(119)가 활성화된다.

한편 표시부(125)가 설치된 제 2 본체부(120)가 제 1 본체부(1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제 2 본체부(120)에서 노출된 제 1 본체부(110)의 양쪽에 듀얼 스피커(115)가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 2 본체부(120)가 제 1 본체부(110)에 대해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표시부(12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이나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시부(125)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본체부(110)의 양쪽에 듀얼 스피커(115)가 배치되면서 제 1 본체부(110) 쪽으로 중량이 분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화시와 휴대 단말기(200)를 잡았을 때 휴대 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 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 2 본체부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2 본체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 2 본체부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제 2 본체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0 : 제 1 본체부 15, 115 : 듀얼 스피커

17, 117 : 키패드 19, 119 : 마이크

20, 120 : 제 2 본체부 25 : 제 1 표시부

27 : 제 2 표시부 29, 129 : 이어피스

30, 130 : 힌지부 100, 200 : 휴대 단말기

125 : 표시부

Claims (11)

  1.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갖는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1 표시부를 갖는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 외측의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의 마주보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듀얼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제 1 면에 설치되는 제 2 표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듀얼 스피커 중 한쪽에 근접한 상기 제 2 본체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본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본체부에 덮이는 키패드와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제 1 면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이어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듀얼 스피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가 열려 상기 제 2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이어피스와 상기 마이크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을 따라 상기 제 2 본체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개폐하는 슬라이딩 힌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1 본체부의 제 1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본체부에 덮이는 키패드와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제 2 면에 설치된 이어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듀얼 스피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가 열려 상기 제 1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이어피스와 상기 마이크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21543A 2007-11-27 2007-11-27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90054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43A KR20090054718A (ko) 2007-11-27 2007-11-27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12/276,830 US8359072B2 (en) 2007-11-27 2008-11-24 Mobile terminal having floated display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43A KR20090054718A (ko) 2007-11-27 2007-11-27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718A true KR20090054718A (ko) 2009-06-01

Family

ID=4067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43A KR20090054718A (ko) 2007-11-27 2007-11-27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59072B2 (ko)
KR (1) KR200900547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2274B2 (en) 2006-06-09 2010-08-24 Cfph, Llc Fold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US9407984B2 (en) * 2011-02-24 2016-08-02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qualit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6900B2 (ja) * 1999-11-16 2004-10-1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2204297A (ja) * 2000-11-02 2002-07-19 Sharp Corp 携帯情報機器
US7773957B2 (en) * 2002-07-22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KR100532334B1 (ko) * 2003-11-26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51410B1 (ko) * 2004-05-0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2-웨이 폴더형 단말기
US20090117955A1 (en) * 2007-11-07 2009-05-07 Kuo-Jung Lo Mobile phone capable of rapidly switching to have multiple-media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7283A1 (en) 2009-05-28
US8359072B2 (en)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5236B2 (en) 2016-01-12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102468709B1 (ko) 2022-11-21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RU2642854C2 (ru) 2018-01-29 Способ уведомления
JP5120028B2 (ja) 2013-01-16 携帯端末装置
JP2009246819A (ja) 2009-10-22 携帯端末装置
KR101978211B1 (ko) 2019-05-14 이동단말기
US7676242B2 (en) 2010-03-09 Compact and durable thin smartphone
KR100866232B1 (ko) 2008-10-30 휴대용 단말기
JP5141518B2 (ja) 2013-02-13 携帯端末装置
WO2019062997A1 (zh) 2019-04-04 一种终端设备以及出音装置
KR20090054718A (ko) 2009-06-01 플로팅된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070015553A1 (en) 2007-01-18 Compact and durable clamshell smartphone
US8367948B2 (en) 2013-02-05 Handheld device
KR20120029911A (ko) 2012-03-27 휴대용 단말기
JP5582908B2 (ja) 2014-09-03 携帯電子機器
CN114268682B (zh) 2025-02-21 柔性屏支撑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612790B1 (ko) 2016-04-15 휴대 단말기
JP2005136877A (ja) 2005-05-26 配置構造、及び、携帯通信機器
JP2014107785A (ja) 2014-06-09 携帯端末装置
KR101581361B1 (ko) 2015-12-30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502008B1 (ko) 2015-03-12 휴대 단말기
KR20110064276A (ko) 2011-06-15 이동 단말기
KR100605492B1 (ko) 2006-07-31 양면 폴더 핸드폰
JP4535507B2 (ja) 2010-09-01 携帯電話機
JP2005167797A (ja) 2005-06-23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2007-11-27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2009-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2012-12-28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2012-12-28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