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238A -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 ️Tue Jul 31 2012
KR20120085238A -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5238A KR20120085238A KR1020127003561A KR20127003561A KR20120085238A KR 20120085238 A KR20120085238 A KR 20120085238A KR 1020127003561 A KR1020127003561 A KR 1020127003561A KR 20127003561 A KR20127003561 A KR 20127003561A KR 20120085238 A KR20120085238 A KR 20120085238A Authority
- KR
-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 support device
- body member
- inserter
- vessel
- deployed Prior art date
- 2009-07-09
Links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06010002329 Aneury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3073 embol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803 re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8450 Intracranial aneury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5166 vascula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536 Thromb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889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00 nickel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5033 vasoconstri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872 Body Remai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69 T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LXZNVUGXRDIFK-UHFFFAOYSA-N nickel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Ti].[Ti].[Ti].[Ti].[Ti].[Ti].[Ti].[Ti].[Ti].[Ti].[Ni].[Ni].[Ni].[Ni].[Ni].[Ni].[Ni].[Ni].[Ni].[Ni].[Ni].[Ni].[Ni].[Ni] HLXZNVUGXRDI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3—Stents, different from stent-grafts, adapted to cover an aneury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0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59—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empora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혈관 지지 장치(10)는 몸체 부재(12)를 포함하며, 몸체 부재(12)는 세팅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14)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14)는 혈관 내의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삽입기에 수용되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부터 혈관 내의 위치에 전개되어 권취된 관형상의 형태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09년 7월 9일 출원된 오스트레일리아 가특허 출원 제20099032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으로서,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체 또는 동물의 몸에서의 혈관과 같은 관형상 구조 내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지 장치는 또한 혈관 내에서 스텐트(stent)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관형상 구조에는 때때로 지지를 필요로 하는 약한 부위가 존재한다. 약한 부위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 혈관과 같은 관형상 구조에서 혈관 벽의 약화는 혈관에서 나타나는 동맥류(aneurysm)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관형상 구조의 좁아짐은 다수의 인자들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 혈관의 좁아짐은 혈관에 플라크(plaque)의 축적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관형상 구조의 좁아짐을 방지하거나 또는 관형상 구조의 좁아짐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적용 분야에서, 관형상 구조는 횡단면이 작으며 이러한 관형상 구조에 지지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적용 분야에서는, 지지 장치와 관형상 구조 사이에 물품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지지 장치의 외면과 관형상 구조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접근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지지 장치는 적어도 초기에 물품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인체 또는 동물의 몸에서의 혈관과 같은 관형상 구조 내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서,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혈관 지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몸체 부재는 세팅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elongate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는 혈관 내의 소정 위치로 보내질수 있게 삽입기(introducer)에 의해 운반될 수 있도록 한 비전개 형태로부터 상기 혈관 내의 소정 위치에서 전개되어 감긴 관형상 형태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권취(coiled)"라는 표현은 세장형 요소가 실질적으로 나선형 형태를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의 선회부는 원형일 필요는 없고 타원, 다각형 또는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전개된(deployed)"이라는 표현은 지지 장치의 세장형 요소가, 이를 안에 수용하는 혈관과 일치하게 감긴 것, 완전히 전개된 형태에서는 혈관이 세장형 요소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감긴 것을 의미하거나, 이들 두가지가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지지 장치의 적용 여하에 따라서는, 전개된 형태로 되어 있는 지지 장치는 이 지지 장치가 안에 전개되어 있는 혈관을 지지할 수도 있다. 전개되지 않은(non-deployed) 형태에서, 세장형 요소는 실질적으로 감기지 않은 상태(unwound)이거나 또는 조밀하게 감겨 수축된 코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세장형 요소의 조밀하게 감겨 수축된 코일 형태에서의 주 횡방향 치수(major transverse dimension)는 전개된 형태의 세장형 요소의 주 횡방향 치수보다 대체로 작다.
세장형 요소 또는 각각의 세장형 요소는 권취된 모양을 취할 수 있는 와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세팅 가능한 금속 재료, 세팅 가능한 강철 재료 또는 유사한 것, 세팅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등이 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는, 이 세장형 요소를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삽입기가 수용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중공형일 수 있다.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에 있을 때,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개된 형태에 있을 때,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이 몸체 부재의 길이를 따른 특정 위치에서 맞닿아 있을 수 있고, 몸체 부재의 길이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세장형 요소는 원형에서 다각형까지 임의의 적합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요소는 또한 띠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가 전개된 형태로 있을 때 몸체 부재의 전개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몸체 부재를 통하여 상기 혈관 내 소정 위치로의 접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대신에, 몸체 부재는 상기 혈관 내 소정 위치에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카테터(catheter) 또는 다른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코일의 선회부들의 비틀림 또는 벌어짐을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몸체 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세장형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에, 세장형 요소들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위치에 도입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도입되는 경우, 세장형 요소들은 다른 시점에서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초기의 세장형 요소의 전개 후에 재협착이 일어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몸체 부재는 전개된 형태일 때 주부분(primary part)과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부분(secondary part)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부분들은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브리지 부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주부분의 직경은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부분의 직경과 상이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분기된 몸체 부재를 형성하도록 주부분의 말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두개의 부수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재는, 전개된 형태로 있을 때에는 몸체 부재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몸체 부재에 부착된 조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를 조작하고 위치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조작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작 형상부는 몸체 부재의 기단부 또는 말단부 또는 양쪽 모두에 배열된 후크 또는 유사한 구조의 것이 될 수 있다. 후크는, 관형상일 수 있는 삽입기 내로 회수되며 삽입기 내로 회수될 때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전환되는 몸체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형상부는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로부터 기단으로 뻗어 있는 세장형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세장형 요소의 기단부는 환자의 몸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를 적어도 전개된 형태로 배열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가능한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가능한 형상부는 후크식 형상부 또는 유사한 것이 될 수 있으며, 몸체 부재를 삽입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결합 부재에 의해 맞물리는 몸체 부재의 말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결합 부재는 탐침 또는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몸체 부재와 삽입기 간의 상대적인 이동과 관련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몸체 부재에 대하여 말단으로 삽입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몸체 부재가 삽입기 내로 회수되고, 반대로 몸체 부재에 대하여 기단으로 삽입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몸체 부재가 삽입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의 코일이 삽입기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횡단하여 배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삽입기의 말단부는 가이드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형상부는 삽입기의 말단부에 배열된 종방향으로 뻗은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슬롯을 통하여 세장형 요소가 삽입기를 빠져나간다.
제2 양태에서, 혈관의 통로에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삽입기 및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몸체 부재와 함께 삽입기에 의해서 운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지지 장치가 삽입기로부터 배출된 후에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삽입기로부터 지지 장치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지지 장치와 결합하기 위해서 삽입기와 연결된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상 삽입기의 경우에, 결합 부재는 삽입기의 루멘에 수용 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삽입기는 전달 카테터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지지 장치의 전달 후의 위치에서 혈관의 통로의 위치로 카테터의 회수는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기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지지 장치가 주위에 조밀하게 감긴 형태로 장착되는 와이어가 될 수 있으며, 지지 장치는 전개된 형태로 방사상으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축선방향으로 확장하도록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부터 해제된다.
삽입기는 끝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 단면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끝에서 보았을 때 장방형의 띠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기는 와이어 일 수 있으며 지지 장치는 관형상 일 수 있다.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지지 장치는 삽입기 위에 수용될 수 있고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삽입기와 지지 장치 간에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지지 장치의 조작 형상부는 임상의가 지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환자 몸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위치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지지 장치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환자 몸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장치는 주 스텐트(primary stent)일 수 있고, 지지 장치는 주 스텐트와 유사한 형태의 몸체 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스텐트(secondary st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스텐트 및 부수적 스텐트는 위치에서 분기된 스텐트를 형성하도록 함께 사용된다.
제3 양태에서, 혈관의 통로에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있고, 삽입기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를 위치에 전달하고; 및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삽입기로부터 지지 장치를 배출함과 동시에 혈관의 위치로부터 삽입기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지 장치의 일부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삽입기로부터 지지 장치의 일부만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배출되는 지지 장치의 일부는 지지할 혈관 구역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지지 장치가 동맥류의 구역에서 혈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배출되는 지지 장치 일부의 크기는 동맥류의 병목부의 크기에 의해서 좌우된다. 대신에, 이 방법은 지지할 혈관의 구역의 크기를 위해 적합한 지지 장치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법은 삽입기로부터 몸체 부재를 배출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의 단부와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위치로부터 돌출한 지지 장치의 조작 형상부에 접근하고, 지지 장치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환자의 몸에서 지지 장치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위치에서 삽입기로부터 제1 지지 장치를 배출하고, 그 후에 위치에서 제2 지지 장치가 제1 지지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삽입기로부터 제2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지지 장치를 서로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제2 지지 장치를 제1 지지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제2 지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지지 장치의 일부와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2 지지 장치를 제1 지지 장치와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분기된 지지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지지 장치에 대하여 제2 지지 장치를 배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 장치가 추가적인 브랜치를 형성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풍선과 같은 팽창 장치가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팽창 가능한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혈관 지지 장치가 제공되며, 몸체 부재는 끝에서 보았을 때 환형상이다.
몸체 부재의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를 통하여 팽창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 둘레 주위는 밀폐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 부재는 이러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 가능하다.
제5 양태에서, 동맥류를 색전(embolising)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삽입기,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삽입기에 의해 운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와 함께 삽입기에 의해서 운반되는 지지 장치, 및 색전 장치가 수용되는 도입 카테터를 포함하며, 지지 장치는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에 있을 때 혈관의 벽과 지지 장치 사이에 놓인 도입 카테터의 말단부를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6 양태에서, 동맥류를 색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삽입기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를 혈관 안의 위치로 전달하며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는 삽입기에 의해서 전달 과정 동안에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운반되고,
색전 장치를 수용한 도입 카테터를 위치에 도입하고, 및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전개된 형태의 지지 장치와 혈관의 벽 사이에 놓인 도입 카테터의 말단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전개되어 작동하는 형태의 제1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지지 장치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 혈관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실시예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발병한 혈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전개된 형태의 제2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3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발병한 혈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도 5의 지지 장치가 수용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3의 혈관의 제 위치에 지지 장치의 나머지 부분의 형성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제 위치에 완성된 지지 장치의 개략도.
도 9는 재협착이 일어난 후의 혈관의 개략도.
도 10은 제4 실시예의 지지 장치를 사용하여 재협착을 치료한 후의 혈관의 개략도.
도 11은 제5 실시예의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제6 실시예의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제7 실시예의 지지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8 실시예의 지지 장치를 전개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9 실시예의 지지 장치의 끝면도.
도 18은 도 17의 지지 장치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10 실시예의 지지 장치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제11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의 전개의 다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a 및 도 21b는 제2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의 두가지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2는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로 있는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3 실시예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3은 지지 장치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있는 도 22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시스템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3의 시스템의 말단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
도 26은 지지 장치의 전개 이전의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4 실시예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7은 지지 장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개되어 있는 도 26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8은 시스템이 제13 실시예의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지지 장치의 전개 이전의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시스템의 기단부의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지지 장치의 전개 이후의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축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1a 내지 도 31d는 동맥류를 색전하기 위한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동맥류를 색전하기 위한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 중의 도 1에서, 도면 부호 10은 실시예의 혈관 지지 장치를 전체적으로 표시한다. 도 1에는, 지지 장치(10)가 수술에 사용하게 전개된 나선형으로 감긴 코일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 장치(10)는 세팅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한 가닥의 와이어(14)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를 갖는 몸체 부재(1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와이어(14)는 세팅 가능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와이어(14)는 세팅되어 나선형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된다. 감긴 형태는 지지 장치(10)에 의해 지지될 혈관의 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전개되지 않은 형태(non-deployed configuration)로 풀려질 수 있다.
와이어(14)는 단부에서 보았을 때 임의의 적절한 단면이며, 코일 형태로 감겨질 수 있고, 지지 장치(10)를 사용하는 적용 분야에 따라 와이어(14)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띠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 장치(10)는 의료 분야에 사용되며 스텐트로서 또는 혈관에 다른 물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14)는 예를 들어 니켈-티타늄 합금(Nitinol)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합금은 원하는 형태로 가열 세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와이어(14)는 권취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형태로 세팅되며, 그 다음에 환자의 혈관에서 치료할 위치에 전개될 수 있도록 풀린다. 대신에,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14)는 적합한 폴리머와 같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합한 폴리머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
지지 장치(10)는 일반적으로 두개강 내 동맥류와 같은 이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동맥류가 나타나는 혈관들은 직경이 5 mm 이하의 크기이다. 그러므로, 감긴 몸체 부재(12)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와이어의 주 횡방향 치수와 몸체 부재(12)의 코일 자체의 주 횡방향 치수의 비율은 와이어(14)를 코일 형태로 감기 용이하도록 선택되는 한편 여전히 혈관에서의 지지 기능을 실행하도록 선택할 필요가 있다. 와이어(14)의 주 횡방향 치수는 와이어의 단면 형상에 의존할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와이어(14)의 두께이다. 원형의 단면인 와이어(14)의 경우에, 주 횡방향 치수는 와이어(14)의 직경이며, 타원형의 단면인 와이어(14)에 대해서, 주 횡방향 치수는 와이어(14)의 주축이 되고,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단면인 와이어(14)에 대해서, 주 횡방향 치수는 와이어의 대각선이 된다. 유사하게, 권취된 몸체 부재(12)의 주 횡방향 치수는 단부에서 보았을 때 권취된 몸체 부재(12)가 원형인 경우에는 권취된 몸체 부재(12)의 외경이며, 단부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인 경우에는 타원형의 몸체 부재(12)의 주축이며, 단부에서 보았을 때 정방형 또는 장방형인 경우에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몸체 부재(12)의 대각선이다.
대략적으로, 권취된 몸체 부재(12)가 혈관을 권취된 몸체 부재(12)와 일치하도록 할 경우에는 강성의 비율(stiffer ratio)이 선택되고, 반대로 권취된 몸체 부재(12)가 혈관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할 경우에는 연성의 비율(softer ratio)이 선택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40 이하의 비율이 적합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40을 초과하는 비율이 적합하다.
만약 권취된 몸체 부재(12)가 지나치게 "연성"이 되도록 비율이 선택되면, 몸체 부재(12)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삽입기에서 꺼내질 때 몸체 부재(12)가 권취되어 있지 않게 될 수 있다. 게다가, 만약 몸체 부재(12)가 과도하게 "연성"이면, 전개된 몸체 부재(12)가 혈관 안에 전개되었을 때에 혈관을 충분하게 지지 또는 지탱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권취된 몸체 부재(12)가 과도하게 "강성"이면, 몸체 부재(12)를 전개하는 것이 불가능 및/또는 몸체 부재(12)가 전개될 때 몸체 부재가 적절하게 감길 수 없거나 또는 혈관 안에 전개되었을 때 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의 주 횡방향 치수에 대한 코일의 주 횡방향 치수의 중간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연성"의 비율은 40 이상이며, "강성"의 비율은 15 이하이며, "중간"의 비율은 15와 40 사이의 범위이다. 비율의 예들이 아래의 표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d = 와이어의 주 횡방향 치수 또는 와이어의 두께
D = 코일의 주 횡방향 치수
그러므로, 바람직한 비율의 범위는 지지 장치(10)의 사용하는 적용 분야에 의존하여 대략 15 내지 20; 20 내지 25; 25 내지 30; 30 내지 35; 35 내지 40이 될 수 있다.
몸체 부재(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이 맞닿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이 서로 이격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부재(12)의 인접한 코일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인접한 선회부들 사이에 개구가 제공됨으로써 지지 장치(10)의 바깥쪽으로 배열되는 혈관 내의 캐비티 또는 혈관의 벽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두개강 내 동맥류에 포함된 혈액을 응고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색전 코일과 같은 물품을 지지 장치(10)를 통하여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수술에 사용되는, 즉 두개강 내 동맥류에 색전 코일을 전달하기 위한 지지 장치(10)의 실시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권취된 몸체 부재(12)의 인접한 선회부들 사이의 간격은 색전 코일 또는 다른 물품을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권취된 몸체 부재(12)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일부의 선회부(14.1, 14.2)들은 개구(26)를 통해서 혈관의 벽과 지지 장치(10) 사이에 물품들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미리 형성된 개구(26) 대신에, 개구는 지지 장치(10)가 제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권취된 몸체 부재(12)의 인접한 선회부들을 변형하거나 또는 몸체 부재(12)의 인접한 선회부들을 떨어지도록 비트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10)는 몸체 부재(12)의 기단으로 그리고 말단으로 각각 뻗어 있는 감기지 않은 선도 부재(28, 30)들의 형태인 조작 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회수하는 와이어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선도 부재(28)는 혈관 내의 위치에 색전 코일과 같은 물품을 넣기 위하여 그리고 혈관으로부터 지지 장치(10)를 회수하기 위하여 임상의가 잡아서 환자의 몸으로부터 돌출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길다.
선도 부재(30)는 안내 와이어로서 사용되며 전달 카테터(도시 생략)로부터 말단으로 돌출한다. 선도 부재(30)는 선택 사항으로 선도 부재(30)에 의해 혈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밀하게 감긴 코일(도시 생략)과 같은 커버 부재로 피복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안내 와이어와 유사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되어 있는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20)은 루멘(lumen)(24)을 형성하는 전달 카테터(22)의 형태인 삽입기를 포함한다. 환자의 혈관 내의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서, 지지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신장되거나 또는 풀어짐으로써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 내로 삽입된다. 선도 부재(28)는 카테터(22)의 루멘(24)으로부터 기단으로 돌출한다.
지지 장치(10)에 대한 다른 용도는 스텐트(stent)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도 3은 분기된 혈관(40)을 도시하고 있다. 혈관(40)은 하나의 주 브랜치(42)와 주 브랜치(42)에서 갈라진 두개의 부수적 브랜치(44, 46)를 가지고 있다. 혈관(40)의 벽에 플라크(48)의 축적으로 인하여 혈관(40)의 좁아짐이 발생할 수 있다. 플라크(48)가 주 혈관(42)과 부수적 혈관(44, 46) 사이의 결합부(50)에서 발생하는 경우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는 주 혈관(42)과 부수적 혈관(44, 46) 사이의 결합부(50)에 스텐팅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기된 스텐트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면 부호 6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분기된 스텐트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스텐트(60)는 이중의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된 주 암(primary arm)(62)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텐트(60)를 구성하는 몸체 부재(64)는, 스텐트(60)의 몸체 부재(64)의 주 암(62)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려 있는 코일(66, 68)들로 형성된 두개의 와이어를 갖고 있다.
스텐트(60)는 주 암(62)에서 분기하는 두개의 부수적 암(secondary arm)(70, 72)들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부수적 암(70,72)들은 코일(66, 68)들의 하나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코일(66, 68)들은 스텐트(60)의 두개의 부수적 암(70, 72)을 형성하도록 결합부(74)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면 부호 80(도 8)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스텐트로서 사용되는 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텐트(80)는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긴 두개의 세장형 요소(84, 86)로 만들어진 몸체 부재(82)를 가지고 있다. 세장형 요소(84)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세장형 요소(84)는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긴 제1 코일 부분(88) 그리고 제1 코일 부분에 대해 말단으로 배열된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긴 제2 코일 부분(90)을 가지고 있다. 이 코일 부분(88, 90)들은 브리지 부분(9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제1 코일 부분(88)은 제2 코일 부분(90)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말단 포트(94)는 제1 코일 부분(88)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제1 코일 부분(88)은 필요한 것보다 큰 직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요한 만큼만 확장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 제1 코일 부분을 테이퍼진 혈관에 꼭 들어맞게 할 수 있다.
사용시에, 전개되지 않은 풀린 형태에서 세장형 요소(84)는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에 위치되고 혈관(40)의 분기 지점에 전달되도록 혈관(40)내에 삽입된다. 플라크의 축적이 발생한 곳에서, 세장형 요소(84)는 카테터(22)의 말단부로부터 배출되고, 제2 코일 부분(90)이 혈관(40)의 브랜치(46)에 수용되어 제2 코일 부분(90)은 혈관(40)의 브랜치(46)를 스텐트 하고 그 브랜치(46)에서 플라크(48)를 압축하도록 권취된다. 다음에, 세장형 요소(84)의 제1 코일 부분(88)이 전달 카테터(20)로부터 배출되고, 제1 코일 부분(88)은 혈관(40)의 주 혈관(42)에 수용되어 전개된 상태로 권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혈관(40)의 브랜치(44)내로 지지 장치(80)의 세장형 요소(86)를 전달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달 카테터(96)가 사용된다. 전달 카테터(96)는 제1 코일 부분(88)의 말단 포트(94)를 통하여 혈관(40)의 브랜치(44) 내로 넣어진다. 전달 카테터(96)의 말단부가 플라크(48)를 지나서 위치될 때, 카테터(96)는 기단으로 회수되는 한편 카테터(96) 내에 풀린 상태의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있던 세장형 요소(86)가 배출된다. 카테터(96)가 회수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권취된 형태를 취할 때까지 세장형 요소(8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세장형 요소(86)의 기단 선회부(98)는 세장형 요소(86)를 스텐트(80)의 제1 코일 부분과 관련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코일 부분(88)의 말단 선회부(100)와 맞물린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협착이 혈관(40)에서 일어날 수 있다. 재협착은 특히 스텐트(80)의 몸체 부재(82)의 선회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일어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크(102)는 필연적으로 스텐트의 몸체 부재(82)의 선회부를 통하여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몸체 부재(104)(도 10)가 혈관(40)의 주 암(42)에 삽입됨으로써 몸체 부재(104)의 선회부(106)가 혈관(40)의 플라크(102)를 압축하는 스텐트(80)의 몸체 부재(82)의 제1 코일 부분(88)의 선회부(108)와 서로 맞물린다. 혈관(40)의 브랜치(44, 46)에서 개별적으로 일어나는 재협착을 처리하기 위하여 유사한 몸체 부재(도시 생략)가 코일 부분(90, 86)들과 서로 맞물려 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10은 지지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표시한다. 지지 장치(110)는 전개되지 않은 풀린 형태로부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태로 변할 수 있는 몸체 부재(112)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12)는 커넥터(114)를 통하여 관형상 부재(116)에 부착된다. 몸체 부재(112)의 말단부는 관형상 부재(116)를 통과하고 관형상 부재(116)의 기단부에서 환자의 몸 밖으로 빠져나오는 케이블(118)에 부착된다. 케이블(118)은 축선 방향으로 적절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화살표 방향(120)에서 관형상 부재(116)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케이블(118)을 변위 시킴으로써 전개된 형태에 있을 때 권취된 몸체 부재(112)의 인접한 선회부(122)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두개강 내 동맥류에 접근하여 동맥류의 병목부(neck)를 둘러싸는데 특히 유용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18)은 비틀림에 강하므로 케이블(118)을 그 축선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몸체 부재(112)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회전 방향에 따라, 몸체 부재(112)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것이다.
특정한 상황에서, 몸체 부재(112)는 혈관의 플라크를 압축하기 위하여 혈관에서 순차적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압축될 것이다.
전달 카테터(도시 생략)의 루멘 내에 지지 장치(110)를 도입하기 위해서, 관형상 부재(116)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몸체 부재(112)를 붕괴시키기 위하여 케이블(118)에 대해 기단으로 회수된다.
지지 장치가 사용되는 혈관은 작은 직경이라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혈관의 직경은 3 mm와 같이 작은 것이며 지지 장치(10)의 몸체 부재(12)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와이어(14)의 직경은 0.1 mm 처럼 작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얇은 와이어를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으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 장치(10)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20)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10)의 몸체 부재(12)의 말단부는 결합가능한 형상부(140)를 포함한다. 결합가능한 형상부(140)는 후크로 도시되어 있지만 카테터(22)의 루멘(24)에 수용 가능한 탐침(124)(도 15 및 도 16)의 말단부에 지지된 결합 부재(126)에 의해서 결합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또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탐침(124)은 전개되지 않은 형태의 지지 장치(10)의 몸체 부재(12)와 함께 시스템(20)의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에 수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튜브(126) 형태인 결합 형상부(126)는 후크(140)와 결합된다.
카테터(22)가 혈관 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후크(140)는 튜브(126)에 수용되어 있지만 후크와 튜브는 모두 카테터(22) 내에 수용되어 있다. 혈관(40) 안의 위치에서, 탐침(124)은 카테터(22)의 말단부 밖으로 화살표 방향(128)으로 보내진다. 이것은 몸체 부재(12)가 전달 카테터(22)로부터 배출될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형태를 형성하게 지지 장치(10)의 몸체 부재(12)를 도와준다.
이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 장치(150)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장치(150)는 내벽 형성 부재(154) 및 내벽 형성 부재(154)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열된 외부 벽 형성 부재(156)를 가지고 있는 몸체 부재(152)를 포함한다. 벽 형성 부재(154, 156)들은 환형상의 팽창가능한 챔버(158)를 형성하도록 맞닿은 가장자리를 따라 함께 밀폐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 장치(150)는 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 지지할 관형상 구조에 위치되는 팽창가능한 장치이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지지 장치가 횡방향 단면이 환형상이기 때문에 지지 장치(150)가 팽창될 때 혈관을 통한 혈류가 폐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지 장치(150)는 바람직하게, 지지 장치(150)의 사용자에 의한 지지 장치(150)의 검출을 도와주기 위하여 방사선 불투과성인 염료를 사용하여 팽창된다.
챔버(158)는 팽창 라인(160)에 의해서 팽창되는데, 팽창 라인(160)은 혈류를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이격된 다양한 위치에서 챔버로 들어간다. 또한, 필요하다면 환형상 챔버(158)는 도면 부호 162에 점선으로 표시된 분할 패널에 의해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챔버(158)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지지 장치(150)는 의학 분야 적용에서 임시 스텐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팽창된 상태에 있을 때, 지지 장치(150)는 혈관(40)의 내벽의 플라크를 압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의 추가적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152)는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의 개구 또는 구멍(164)을 한정하고 있다. 각각의 개구(164)의 둘레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팽창 유체는 개구(164)들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구(164)들은 예를 들어 색전 코일들을 동맥류에 삽입하기 위한 것처럼, 지지 장치(150)를 통하여 물품을 삽입하려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지지 장치(150)가 과도한 조작에 대한 필요없이 전달 카테터 내에서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시 스텐트로서 사용될 때, 팽창 유체가 회수되면 지지 장치(150)가 스스로 방사상으로 수축되게 하여 과도한 조작을 하지 않고 전달 카테터 내로 지지 장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장치(150)는 수축될 때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지지 장치가 회수될 때 지지 장치(150)가 혈관의 내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매우 적다. 게다가, 지지 장치(150)의 외면이 매우 균일하기 때문에, 혈관의 벽에 대한 압박이 더욱 균일하게 분배된다. 이것은 또한 맥관 플라크를 균등하게 분배된 방식으로 압축시키는데 유익하다.
만약 지지 장치(150)가 색전 코일 전달 카테터를 혈관의 벽과 지지 장치(150)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면, 지지 장치가 팽창가능한 장치이므로 지지 장치(150)는 전달 카테터의 형상에 더욱 용이하게 일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혈관의 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감소한다. 지지 장치(150)가 동맥류를 색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지지 장치(150)는 동맥류의 낭(sac)의 혈액을 응고시키고 동맥류로 혈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게 동맥류의 병목부를 폐색한다.
도 20a 내지 도 20c에는 도면 부호 17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지지 장치의 제1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도면을 참조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170)는 동맥류(174)를 갖고 있는 혈관(172)을 지지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동맥류(174)는 혈관(172)의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와 있고 병목부(176)를 갖고 있다.
동맥류(174)를 색전하기 위하여, 색전 코일(178)은 전달 카테터(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병목부(176)를 통하여 동맥류(174)의 낭 안으로 삽입된다. 동맥류(174)의 낭에서 색전 코일(178)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170)는 전달 카테터(22)를 사용하여 혈관(172) 내로 삽입된다. 동맥류(174)의 낭에 색전 코일(178)을 유지하고 색전 코일(178)이 혈관(172) 내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170)의 몸체 부재(12)의 충분한 선회부(14)가 동맥류(174)의 병목부(176) 구역에서 카테터(22)의 말단부로부터 배출된다.
전달 카테터(22)로부터 배출되는 몸체 부재(12)의 코일(14)의 수는 동맥류의 병목부(176)의 크기에 의존한다. 따라서,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70)의 몸체 부재(12)의 다양한 수의 코일(14)이 병목부(176)의 크기에 의존하여 카테터(22)로부터 배출된다.
사용시에, 색전 코일(178)이 동맥류(174)의 낭에 일단 삽입되었다면 동맥류(174)의 낭의 혈액이 혈전되고 정체(stasis)된 다음에, 회수 와이어(28)를 기단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몸체 부재(12)를 풀어지게 함으로써 지지 장치(170)는 카테터(22) 내로 회수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혈관(172)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몸체 부재(12)를 카테터(22)의 루멘(24) 내로 회수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전달 카테터(22)가 말단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 몸체 부재(12)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전환될 때 몸체 부재가 방사상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긁거나 또는 끌림에 의해서 혈관(172)의 내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감소된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180)의 제12 실시예의 두가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동맥류(174)의 구역에서 혈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 지지 장치의 오직 일부만이 배출되는 대신에, 동맥류의 낭 내에 색전 코일(178)을 유지하고 혈관(172) 내로 색전 코일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180)는 동맥류(174)의 병목부(17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기 위해 적합한 크기의 몸체 부재(12)를 갖는 것이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몸체 부재(12)는 동맥류(174)의 병목부(176)를 완전히 차단할 필요는 없으나 혈관(172)의 경로의 밖에서 색전 코일(178)을 지지하는 것을 요구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욱 적은 수의 선회부(14)를 갖는 몸체 부재(12)가 제공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또한 이 실시예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달 카테터(22)를 사용한다. 동맥류(174)의 낭에서 정체가 일어난 다음에 지지 장치(18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회수 와이어(28)가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을 통하여 돌출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면 부호 19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190)은 전달 카테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달 와이어 또는 로드(rod)(192) 형태의 삽입기를 사용한다. 전달 로드(192)는 끝에서 보았을 때 임의의 적합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리본 형상 또는 띠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이 시스템(190)은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지지 장치(194)를 포함한다.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권취된 지지 장치(194)는 전개된 형태의 지지 장치(194)와 비교하여 방사상 및 축선방향으로 모두 수축되도록 전달 로드(192)의 말단부에 대하여 조밀하게 감겨있다. 또한 지지 장치(194)는, 환자의 몸 밖으로 돌출하도록 전달 로드(192)를 따라 뻗어 있으며 임상의가 지지 장치(194)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수 와이어(196) 형태의 일체로 형성되어 기단으로 뻗어 있는 조작 형상부를 포함한다.
지지 장치(194)의 말단 선회부(198)는 전달 로드(192)에 고정된 꼬리부(200)(도 24)를 갖고 있다.
게다가, 이 시스템(190)은 전달 로드(192)에 노치 또는 상승부(202) 형태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지 장치(194)를 전개되지 않고 조밀하게 권취된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회수 와이어(196)는 상승부를 통하여 돌출한다.
사용시에, 전달 로드(192) 상에 조밀하게 권취된,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있는 지지 장치를 혈관이 지지되어야 하는 환자 몸의 위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전달 로드(192)가 환자 몸의 맥관을 통하여 삽입된다.
일단, 지지 장치(194)가 혈관의 위치에 전달되면, 임상의는 원하는 위치에서 혈관을 지지하도록 축선방향 및 방사상으로 지지 장치(194)를 확장할 수 있게 회수 와이어(196)의 제어를 유지하면서 전달 로드(192)로부터 회수 와이어(196)를 걸림 해제시키는 래치(24)와 같은 해제 기구를 조작한다. 임상의는 전달 로드(192)와 회수 와이어(196) 간의 상대적인 조작에 의해서 지지 장치(194)의 코일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동맥류 내에 색전 코일의 삽입이 완료되고 정체가 일어난 다음에, 임상의는 지지 장치(194)를 회수되는 형태로 수축하기 위하여 회수 와이어(196)를 당긴다. 지지 장치(194)의 회수시에, 지지 장치(194)가 권취된 형태를 취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지 장치를 준 직선 형태로 수축시켜서 지지 장치를 전달 로드(192)와 함께 회수함으로써 회수될 수 있다.
이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 21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21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지 않은 준 직선 형태로 지지 장치(212)에 수용되어 있는 루멘(24)를 한정하는 전달 카테터(2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달 카테터(22)는 전달 카테터(22)의 말단부에 축선방향으로 뻗은 슬롯(214) 형태의 가이드 형상부를 포함한다. 지지 장치(212)가 카테터의 말단부에서 배출될 때, 지지 장치(212)의 각각의 코일을 전달 카테터(22)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법선 방향의 평면에 형성하도록 조장하는 슬롯(214)을 통하여 지지 장치가 배출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슬롯(214)은 혈관(도시 생략) 안의 원하는 위치에 코일(14)을 배향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212)는 수술의 종료시에 지지 장치(212)를 전달 카테터(22)의 루멘(24) 내로 회수할 수 있게 하는 회수 와이어(28) 형태의 조작 형상부를 포함한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 22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220)은 전달 로드(222) 형태의 삽입기를 포함한다. 환자의 혈관 안의 위치로 전달할 지지 장치(224)는, 앞서 설명한 이전의 실시예들과 달리 도 29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로드(222)가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는 통로(226)를 한정하는 관형상 지지 장치(224)이다.
지지 장치(224)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형태로 가열 세팅된다. 그러나, 원하는 위치에 지지 장치(224)를 전달하기 위해서, 전달 로드(222)는 지지 장치(224)의 통로(226) 안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지 않은 형태를 취하도록 펴지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별개의 전달 카테터는 필요 없으며,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지지 장치(224)를 원하는 위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환자의 맥관을 통하여 넣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달 로드(222)는 가이드 와이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시스템(220)의 말단부가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때, 전달 로드(222)는 지지 장치(224)에 대하여 기단으로 회수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224)는 기단으로 뻗은 조작 부재(228)를 가지고 있는데, 조작 부재는 임상의가 지지 장치(224)와 전달 로드(222)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조작 부재(228)에 접근할 수 있도록 환자 몸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달 로드(222)가 지지 장치(224)로부터 회수될 때, 지지 장치(224)가 안에 수용되는 혈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224)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코일 형태로 감긴다.
수술의 완료 후에, 전달 로드(222)는 환자 몸으로부터 지지 장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지지 장치(224)의 코일 형태를 풀기 위하여 지지 장치(224)에 대하여 말단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수술로 인하여 지지 장치(224)가 혈관 벽을 따라 긁히거나 또는 끌리는 가능성이 감소되며, 이에 의해 지지 장치(224)를 회수하는 동안 혈관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도 31a 내지 31d를 참조하면, 동맥류를 색전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 및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동맥류(230)는 혈관(232)에 도시되어 있다. 동맥류는 혈관(232)의 통로 안으로 개방된 병목부(234)를 갖고 있다.
방법의 초기 단계로서, 카테터(236)가 혈관(232)에 수용되도록 도입 카테터가 환자의 맥관 내에 도입되고 맥관을 통하여 넣어진다. 카테터(236)의 말단부(238)가 동맥류(230)의 낭 안으로 삽입된다.
지지 장치(240)는 혈관(232) 내에 지지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240)가 전개되지 않은 수축된 형태에서 삽입기(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환자의 맥관 내로 도입된다. 동맥류(230)의 낭의 위치에서, 지지 장치(240)가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삽입기가 제거된다. 지지 장치(240)는 동맥류(230)와 관련한 위치에 도입 카테터(236)의 말단부(238)를 넣기 위한 횡방향 치수를 갖도록 선택된다.
지지 장치(240)는 동맥류(230)의 병목부(234)를 가로질러 위치되는 추가적인 목적에 기여하며 병목부(234)의 전체 개구 또는 일부 개구에 걸쳐서 뻗을 수 있다. 지지 장치(240)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색전 코일(242)을 유지하도록 동맥류(230)의 병목부(234)에 대하여 위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지지 장치(240)가 일단 전개되면, 색전 코일(242)은 도입 카테터(236)의 말단부(238)로부터 배출된다. 색전 코일(242)의 도입은 동맥류(230)의 낭에서 혈전이 일어나게 한다. 일단, 정체가 일어나면, 회수 와이어(244) 형태의 조작 부재에 대한 당김에 의해서 지지 장치(240)가 회수된다. 사용시에, 전달 카테터를 통하여 뻗어 있는 회수 와이어(244)에 대한 당김에 의해서 전달 카테터 내로 지지 장치(240)의 회수 및 혈관(232)으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지지 장치(240)가 수축하게 된다. 지지 장치(240)의 회수 이후에, 정체가 발생되었기 때문에 색전 코일(242)은 동맥류(230)의 낭 안에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환자 혈관(232)에서 기원한 내피 세포들이 동맥류(230)의 낭 안의 혈전의 표면 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동맥류의 병목부(234)를 덮는다. 그러므로, 지지 장치(240)는 유리하게 동맥류(230)의 낭 안에 색전 코일(242)를 유지하여 내피 세포들이 재성장하게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동맥류의 병목부(234)를 통하여 돌출한 색전 코일의 일부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권취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와이어의 주 횡방향 치수/두께와 코일의 주 횡방향 치수의 비율이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지지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의 장점은 지지할 또는 지탱할 혈관에 쉽게 위치되는 다목적의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지지 장치의 구조는 지지 장치가 다목적이며 위치시키기 용이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필요하다면 더욱 짧거나 긴 지지 장치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지지 장치들은 필요하다면 서로 맞닿거나 또는 서로 이격된 코일의 선회부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다른 주 횡방향 치수로 선택되거나 또는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지지 장치를 통한 물품들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므로, 색전 코일과 같은 물품들은 지지 장치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맥류의 낭에서 혈액을 응고시키기 위해 혈관 벽의 동맥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만약 필요하다면 동맥류에 접근하기 위하여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 사이에 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의 구성은 지지 장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지지 장치가 혈관 내의 위치로부터 회수되도록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혈관 내에 이질적인 몸체가 남아 있지 않게 되어 혈관을 통한 혈액의 통과가 지지 장치가 계속해서 존재함으로 인해 차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후자의 장점은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지지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권취된 지지 장치들의 경우에, 각각의 지지 장치들은 혈관의 굽음을 따를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더욱 짧은 지지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된다. 혈관의 굽은 부분에 위치될 때 비가요성의 일반적인 스텐트는 혈관의 벽에 대한 과도한 압박을 가해 혈관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곧게 펴지게 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동맥류로 인하여 혈관의 벽이 약해진 경우에 특히 불리하다. 권취된 지지 장치는 혈관의 굽음과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의 벽에 대한 압박을 감소시키고 혈관을 통한 유체 역학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한다.
지지 장치의 권취진 형태의 또 다른 장점은 제거하기 위해 전달 카테터 내로 회수될 때, 지지 장치를 전달 카테터의 루멘의 내부로 기단으로 회수하는 동안 말단 방향으로 전달 카테터를 보냄으로써 상대적인 이동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지지 장치가 관형상 구조의 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 끌리게 되는 가능성이 최소화되고, 이에 의해 관형상 구조를 손상시킬 위험을 최소화한다.
다른 중요한 장점은, 권취된 지지 장치가 풀리거나 또는 감긴 상태에서 풀릴 때, 지지 장치는 매우 작은 횡방향 치수를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것보다 좁은 전달 카테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전달 카테터가 맥관을 통하여 이동될 때 환자의 맥관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또는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35)
-
혈관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는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세팅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는 혈관 내의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삽입기에 의해서 운반되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부터 혈관 내의 위치에 전개되어 권취된 관형상의 형태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 또는 각각의 세장형 요소는 권취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와이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또는 각각의 와이어는 세팅 가능한 금속 재료 및 세팅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 또는 각각의 세장형 요소는, 세장형 요소를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삽입기가 수용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중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가 전개된 형태로 있을 때 몸체 부재의 전개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의 인접한 선회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몸체 부재를 통하여 위치에 접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세장형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전개된 형태일 때 주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부분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부분들은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브리지 부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분의 직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부분의 직경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분기된 몸체 부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주부분의 말단부로부터 뻗어 있는 두개의 부수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일 때 몸체 부재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몸체 부재에 부착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를 조작하고 위치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조작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형상부는 상기 몸체 부재로부터 기단으로 뻗어 있는 세장형 요소이며, 상기 세장형 요소의 기단부는 환자의 몸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를 적어도 전개된 형태로 배열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가능한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혈관의 통로에 지지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삽입기와,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몸체 부재와 함께 삽입기에 의해서 운반되는, 선행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가 삽입기로부터 배출된 후에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기로부터 지지 장치를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상기 지지 장치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기와 연결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전달 카테터의 형태이며, 지지 장치의 전달 후의 위치로부터 혈관의 통로의 위치로 카테터의 회수는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상기 지지 장치가 주위에 조밀하게 감긴 형태로 장착되는 와이어 이며, 상기 지지 장치는 전개된 형태로 적어도 방사상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와이어 이며 상기 지지 장치는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상기 삽입기 위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기와 상기 지지 장치 간에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상기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주 스텐트 이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주 스텐트와 유사한 형태의 몸체 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적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 스텐트 및 상기 부수적 스텐트는 분기된 스텐트를 위치에 형성하도록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혈관의 통로에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으로서,
삽입기를 사용하여,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지지 장치를, 이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된 채로 혈관 내 소정 위치에 전달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를 배출함과 동시에 혈관 내의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기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의 일부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상기 삽입기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의 일부만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지지할 혈관의 구역의 크기를 위해 적합한 지지 장치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로부터 상기 몸체 부재를 배출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상기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의 단부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로부터 돌출한 지지 장치의 조작 형상부에 접근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전개되지 않은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환자의 몸에서 상기 지지 장치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에서 상기 삽입기로부터 제1 지지 장치를 배출하고, 그 후에 위치에서 제2 지지 장치가 제1 지지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삽입기로부터 제2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들을 서로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지지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분기된 지지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 장치를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지지 장치의 일부와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지지 장치를 상기 제1 지지 장치와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의 전개 방법. -
혈관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는 팽창 가능한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끝에서 보았을 때 환형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의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팽창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 둘레 주위는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지지 장치. -
동맥류의 색전 시스템으로서,
삽입기,
전개되지 않은 형태에서 삽입기에 의해 운반되는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와 함께 삽입기에 의해서 운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 및
색전 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도입 카테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에 있을 때 혈관의 벽과 상기 지지 장치 사이에 놓인 상기 도입 카테터의 말단부를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 시스템. -
동맥류의 색전 방법으로서,
삽입기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를 혈관 내의 위치로 전달하고, 상기 지지 장치의 몸체 부재는 전달 과정 동안에 삽입기에 의해서 전개되지 않은 형태로 운반되고,
색전 장치를 수용한 도입 카테터를 상기 위치에 도입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전개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전개된 형태의 상기 지지 장치와 혈관의 벽 사이에 놓인 상기 도입 카테터의 말단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기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를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09903232 | 2009-07-09 | ||
AU2009903232A AU2009903232A0 (en) | 2009-07-09 | A support device for a tubula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5238A true KR20120085238A (ko) | 2012-07-31 |
Family
ID=4342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561A KR20120085238A (ko) | 2009-07-09 | 2010-07-08 |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91171A1 (ko) |
EP (1) | EP2451410A1 (ko) |
KR (1) | KR20120085238A (ko) |
WO (1) | WO20110031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57362A2 (en) | 2007-06-13 | 2008-12-24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Anti-migration features and geometry for a shape memory polymer stent |
GB2538492A (en) * | 2015-05-11 | 2016-11-23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Aneurysm treatment assembly |
US9528011B2 (en) | 2013-01-11 | 2016-12-27 | Ceraloc Innovation Ab | Digital binder and powder print |
US10258341B2 (en) | 2015-05-11 | 2019-04-16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Medical assembly and device |
US10881497B2 (en) * | 2017-01-26 | 2021-01-05 | DePuy Synthes Products, Inc. | Composite vascular flow diverter |
US20220257363A1 (en) * | 2018-10-25 | 2022-08-18 | Endologix Llc | Bifurcated stent grafts, stent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0691A (en) * | 1993-01-26 | 1994-12-06 | Target Therapeutics, Inc. | Intravascular inflatable stent |
US5980514A (en) * | 1996-07-26 | 1999-11-09 | Target Therapeutics, Inc. | Aneurysm closure device assembly |
US5906641A (en) * | 1997-05-27 | 1999-05-25 | Schneider (Usa) Inc | Bifurcated stent graft |
US6572648B1 (en) * | 2000-06-30 | 2003-06-03 | Vascular Architects, Inc. | Endoluminal prosthesis and tissue separation condition treatment method |
US20040044391A1 (en) * | 2002-08-29 | 2004-03-04 | Stephen Porter | Device for closure of a vascular defect and method of treating the same |
US7901448B2 (en) * | 2002-12-24 | 2011-03-08 | Novostent Corporation | Vascular prothesis having interdigitating edges and methods of use |
WO2004087006A2 (en) * | 2003-03-26 | 2004-10-14 | Cardiomind, Inc. | Implant delivery technologies |
US20050209672A1 (en) * | 2004-03-02 | 2005-09-22 | Cardiomind, Inc. | Sliding restraint stent delivery systems |
US20070038292A1 (en) * | 2005-08-09 | 2007-02-15 | Moise Danielpour | Bio-absorbable stent |
US7731741B2 (en) * | 2005-09-08 | 2010-06-08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Inflatable bifurcation stent |
US20070239255A1 (en) * | 2006-04-07 | 2007-10-11 | Richard Allen Hines | System and device for helical stent delivery |
US9017395B2 (en) * | 2007-03-09 | 2015-04-28 | Novostent Corporation | Vascular prosthesis and methods of use |
-
2010
- 2010-07-08 US US13/383,206 patent/US2012019117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7-08 KR KR1020127003561A patent/KR201200852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7-08 EP EP10796590A patent/EP245141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7-08 WO PCT/AU2010/000873 patent/WO20110031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03147A1 (en) | 2011-01-13 |
EP2451410A1 (en) | 2012-05-16 |
US20120191171A1 (en) | 2012-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73155A1 (en) | 2024-05-30 | Releasable Delivery System |
US10765542B2 (en) | 2020-09-08 | Methods and apparatus for luminal stenting |
US8500788B2 (en) | 2013-08-06 | Vascular stenting and other procedures |
US11666465B2 (en) | 2023-06-06 | Vascular stenting for aneurysms |
KR20120085238A (ko) | 2012-07-31 | 관형상 구조를 위한 지지 장치 |
CN107080568B (zh) | 2020-03-03 | 脉管装置的标记物附连 |
US11484689B2 (en) | 2022-11-01 |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
CN112888406A (zh) | 2021-06-01 | 用于具有突出特征的支架的输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2012-02-09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2012-07-31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2015-08-09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