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928A - 접이식 지지 부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 ️Thu Feb 23 2023
본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을 결부하여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지지 부재 및 표시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지지 부재(1)에 따르면,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를 가지며, 접이식 지지 부재(1)는 회전축 부재(10) 및 지지판 부재(20)를 포함하고; 회전축 부재(10)는 제1 방향(도 1 중의 Z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성형된 고정축(100) 및 고정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조립체(200)를 포함하며; 지지판 부재(20)는 서로 연결된 연결부(201)와 전개부(202)를 포함하고, 연결부(201)는 고정축(100)에 고정되며, 전개부(202)는 연결부(201)에 대해 고정축(100)을 중심으로 접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여기서 전개부(202)는 고정축(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접이식 지지 부재(1)가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때, 전개부(202)가 회전 조립체(200)를 따라 원주 방향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축(100)의 원주 방향은 고정축(100)의 중심선을 시작점으로 하여 고정축과 수직인 평면에서 고정축(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로 방사되는 원주 방향을 가리킨다. 전개부(202)가 회전 조립체(200)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전개부(202)는 고정축(100)에 가까워지거나 고정축(10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연결부(201)는 고정축(100)에 고정되므로, 전개부(202)가 회전 조립체(200)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전개부(202)는 연결부(201)에 가까워지거나 연결부(20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연결부(201)는 고정축(100)에 고정되고, 전개부(202)는 회전 조립체(200)에 연결되므로, 전개부(202)가 회전 조립체(200)를 따라 고정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즉 회전 조립체(200)는 연결부(201)를 중심으로 전개부(202)를 접이시킬 수 있어 지지판 부재(20)의 접이와 전개를 구현할 수 있다.
전개부(202)는 연결부(20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접이식 지지 부재(1)가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때, 전개부(202)는 고정축(10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지지판 부재(20)가 접이될 때 연결부(201)가 늘어나거나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판 부재(20)가 접이될 때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지지판 부재(20)가 접이될 때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피지지 부재의 접이될 때의 변형량을 감소시키며, 피지지 부재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판 부재(20)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 부재(20)는 탄성률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바, 예를 들어 지지판 부재(20)의 재료는 강판이고, 강판 재료는 지지판 부재(20)가 접이될 때 발생하는 변형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지지판 부재(2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바, 즉 연결부(201)와 전개부(202)는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지지판 부재(20)가 매끄러운 지지면을 갖도록 하며, 지지판 부재(20)가 피지지 부재에 주는 스크래치 손상을 개선할 수 있다.
전개부(202)와 회전 조립체(200)가 서로 슬라이딩 하는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전개부(202)의 회전 조립체(200)를 향하는 표면에는 슬라이딩 홈이 배치되고, 슬라이딩 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성형되며, 전개부(202)는 슬라이딩 홈을 통해 회전 조립체(2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접이식 지지 부재는 슬라이딩 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지지판 부재(20)의 전개부(202)는 슬라이딩 부재(30)를 통해 회전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30)는 회전 조립체(20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결부(201)는 슬라이딩 부재(30)에 고정된다. 전개부(202)는 슬라이딩 부재(30)를 통해 회전 조립체(200)에 대해 슬라이딩 한다.
지지판 부재(20)가 고정축(100)에 고정되는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지지판 부재(20)의 연결부(201)는 고정축(100)에 접착되거나 지지판 부재(20)의 연결부(201)는 고정축(100)에 용접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고정축(100)에는 장착홈(12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지지판 부재(20)의 연결부(201)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01a) 및 돌출부(201a)에 배치된 오목부(201b)가 배치되어 있으며, 돌출부(201a)는 장착홈(121)에 위치한다.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오목부(201b) 내에 위치하는 가압 블록(50)을 더 포함하고, 가압 블록(50)과 오목부(201b)는 억지 끼워맞춰진다.
돌출부(201a)는 연결부(201)가 접이되어 형성되며, 돌출부(201a)는 장착홈(121)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면을 구비하고, 오목부(201b)는 가압 블록(50)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실 및 수용실과 연통하는 장착 개구를 더 구비하며, 가압 블록(50)은 장착 개구로부터 오목부(201b)의 수용실 내에 압입되어, 연결부(201)를 고정축(100)의 장착홈(121) 내에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장착홈(121)은 제1 방향으로 고정축(100)의 중간부에 가깝게 배치하여, 연결부(201)의 각 부위가 받는 힘이 보다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홈(121)은 바닥면(121a), 고정축(100)의 반경방향 양측에서 바닥면(121a)에 연결되는 양측면(121b) 및 바닥면(121a)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바닥면(121a)에서 개구를 향하는 방향에서 양측면(121b) 사이의 거리는 점차 증가한다. 장착홈(121)의 개구가 비교적 크므로, 돌출부(201a)를 장착홈(121) 내에 장착하기 쉽고, 접이식 지지 부재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돌출부(201a)는 장착홈(121)의 형상에 적합하며, 장착홈(121)의 바닥면(121a)에서 개구를 향하는 방향에서 돌출부(201a)의 크기는 점차 증가한다. 돌출부(201a)의 장착 개구 크기가 비교적 크므로, 가압 블록(50)을 수용실 내로 가압하는 데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가압 블록(50)의 횡단면은 쐐기 모양을 나타낸다. 가압 블록(50)을 돌출부(201a) 내에 가압하는 데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가압 블록(50)의 형상은 돌출부(201a)의 형상에 적합하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접이식 지지 부재(1)는 회전축 부재(10)의 지지판 부재(2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백커버 조립체(40)를 더 포함하며, 백커버 조립체(40)는 고정축(100)에 고정 연결된 고정판(41) 및 고정판(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42)을 포함하고, 회전판(42)은 회전 조립체(200)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판(42)과 회전 조립체(200)는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결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백커버 조립체(40)를 통해 지지판 부재(20)와 회전축 부재(10)에 대해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백커버 조립체(40)는 고정판(41)과 회전판(42)을 포함하며, 고정판(41)과 회전판(42)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판(42)과 회전 조립체(200)는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회전 조립체(200)가 고정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회전판(42)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판(42)은 제1 회전판(42a)과 제2 회전판(42b)을 포함하고, 제2 회전판(42b)은 제1 회전판(42a)을 통해 고정판(41)에 연결되고, 제1 회전판(42a)은 고정판(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회전판(42b)은 제1 회전판(4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판(42)은 제1 회전판(42a)과 제2 회전판(42b)을 포함하고, 제1 회전판(42a), 제2 회전판(42b)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접이식 지지 부재(1)의 회전 각도를 확대할 수 있다.
제1 회전판(42a)은 곡면판일 수 있고, 전개 상태에서 제1 회전판(42a)은 회전 조립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이된다. 제2 회전판(42b)이 전개 상태에서 접이 상태로 회전할 때 생성되는 회전 각도를 확대할 수 있다.
제2 회전판(42b)은 회전 조립체(200)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백커버 조립체(40)는 패키징 플레이트(43)를 더 포함하며, 패키징 플레이트(43)는 회전판(42)과 수직되게 배치되고, 패키징 플레이트(43)는 회전판(42)의 제1 방향에서의 일단에 배치되어 회전축 부재(10)에 대해 보호를 제공한다.
접이식 지지 부재(1)를 전개 상태에서 접이 상태로 접는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일부를 고정하고 다른 부분은 회전축 부재(10) 및 지지판 부재(20) 등을 통해 고정축(1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전개 상태에서 접이 상태로 접힌다.
도 1,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접이식 지지 부재(1)가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피지지 부재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일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은 제1 고정부(21), 제2 고정부(22) 및 상기 제1 고정부(21)와 상기 제2 고정부(22)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부(23)를 포함한다.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를 이끌어 접이부(23)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표시 장치의 전개와 접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 부재(20)의 전개부(202)는 제1 고정부(21)를 지지하고, 회전판(42)을 통해 회전 조립체(200), 전개부(202) 및 제1 고정부(21)를 차례로 이끌어 접이부(23)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조립체(200)는 두 셋트로서, 전개 상태에서, 두 셋트의 회전 조립체(200)는 각각 고정축(100)의 제2 방향(도 1 에서 X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한다. 전개부(202)는 두 개로서, 각 전개부(202)는 각 회전 조립체(200)에 각각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개 상태에서, 두 개의 전개부(202)는 각각 연결부(201)의 제2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된다. 회전판(42)과 회전 조립체(200)가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 조립체(200)가 두 셋트일 경우, 회전판(42)은 두 개이고, 각 회전판(42)은 각 회전 조립체(200)에 각각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개 상태에서, 두 개의 회전판(42)은 각각 고정판(41)의 제2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조립체(200), 전개부(202) 및 회전판(42)은 각각 두 개이다. 접이식 지지 부재(1)가 표시 장치에 사용될 경우, 두 셋트의 서로 협동하는 회전 조립체(200), 전개부(202) 및 회전판(42)은 각각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이끌어 접이부(23)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전개와 접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접이 상태는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를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접이 상태에서, 두 개의 회전판(42)은 두 개의 전개부(202)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지지판 부재(20)는 180도 평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접이 상태에서, 두 개의 전개부(202)는 회전판(42)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접이식 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내측 접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상태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전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접이식 부재는 또한 도 10에 도시된 전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외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외측 접이 상태와 내측 접이 상태에서, 두 개의 전개부(202)는 서로 평행된다. 외측 접이 상태에서 내측 접이 상태로 전환하려면 각 전개부(202)는 180도 회전해야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고정축(100)은 축부(110)를 포함하고, 축부(11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분포된 두 개의 회전축(111)을 포함하며, 회전축(111)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며; 두 셋트의 회전 조립체(200)는 각각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축부(110)의 두 개의 회전축(111)은 평행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축(100)의 축부(110)는 두 개의 평행되게 배치된 회전축(111)을 포함하고, 두 셋트의 회전 조립체(200)는 각각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두 개의 회전축(111)은 평행되게 배치되므로, 접이 상태에서의 두 개의 전개부(202) 사이의 협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부(110)의 두 개의 회전축(111)이 서로 평행될 경우, 축부(110) 내의 두 개의 회전축(111)의 이격 거리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두 개의 전개부(202)가 서로 평행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축(100)은 두 셋트의 축부(110)를 포함하고, 두 셋트의 축부(110)는 각각 고정축(100)의 제1 방향에서의 양단에 배치되고, 각 회전축(111)에는 각각 회전 조립체(20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축부(110)가 각각 고정축(100)의 제1 방향에서의 양단에 배치되면, 회전축(111) 조립체도 각각 고정축(100)의 양단에 배치되므로, 회전축(111) 조립체의 부피를 줄이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100) 양단의 두 개의 회전축(111) 조립체를 통해 지지판 부재(20)에 더 나은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지지판 부재(20)가 받는 힘이 균형되도록 한다.
회전 조립체(200)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조립체(200)는 회전부(210) 및 계합부(220)를 포함하고; 회전부(210)는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개부(202)와 회전판(42)은 회전부(210)에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계합부(220)는 회전부(210)에 연결되며, 또한 계합부(220)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동일 셋트 축부(110)에 연결된 두 개의 회전 조립체(200)의 계합부(220)는 서로 협동하여, 동일 셋트 축부(110)에 연결된 두 개의 회전 조립체(200)의 회전부(210)가 동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조립체(200)는 회전부(210)를 통해 전개부(202) 및 회전판(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일 축부(110)에 연결된 두 개의 회전 조립체(200)의 계합부(220)는 서로 협동하여, 회전부(210)가 동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두 개의 전개부(202)을 이끌어 동기적으로 회전시킨다. 접이식 지지 부재(1)가 표시 장치에 사용될 경우,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를 접이부(23)에 대해 동기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전개 상태와 접이 상태 사이의 전환이 용이하다.
계합부(220)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계합부(220)는 동기 컨베이어 벨트이다. 선택적으로, 계합부(220)는 기어로서, 동일 축부(110)에 연결된 두 개의 전달 조립체의 기어는 서로 맞물리며, 동일 축부(110)에 연결된 두 개의 전달 조립체의 기어 크기는 일치하다.
선택적으로, 고정축(100)에는 고정홈(130)이 배치되고,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기어는 고정홈(130)에 장착된다. 고정홈(130)을 통해 기어에 보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른 구성 요소가 기어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축(100)은 본체부(120)를 더 포함하며, 고정홈(130)은 본체부(120)의 제1 방향에서의 일측에 배치되고, 축부(110)는 고정홈(130)의 본체부(12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된다. 장착홈(121)은 예컨대 본체부(120)에 배치된다. 축부(110)가 두 개일 경우, 고정홈(130)은 두 개이고, 두 개의 고정홈(130)은 본체부(120)의 제1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며, 축부(110)는 고정홈(130)의 본체부(12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한다.
계합부(220)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계합부(220)의 크기는 비교적 크고, 동일 회전부(210)에 연결된 계합부(220)의 회전축선과 회전축(111)의 중심선은 겹친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계합부(220)의 크기는 비교적 작고, 동일 축부(110)에 대응하는 두 개의 계합부(220)의 회전축선은 두 개의 회전축(111)의 중심선 내부에 위치한다. 즉 동일 축부(110)에 대응하는 두 개의 계합부(220)의 회전축선은 두 개의 회전축(111) 중심선의 연결선 사이에 위치한다. 회전 조립체(200)는 전동부(230)를 더 포함하며, 전동부(230)의 일단은 회전부(210)에 연결되어 회전부(210)가 전동부(230)를 이끌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동부(230)는 회전부(2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전동부(230)의 타단은 계합부(220)에 연결된다. 회전부(210)는 전동부(230)를 통해 계합부(220)를 이끌어 회전시킨다.
선택적으로, 전동부(230)는 제1 전동 부재(231) 및 제2 전동 부재(232)를 포함하며, 제1 전동 부재(231)는 회전부(210)에 연결되어 회전부(210)가 제1 전동 부재(231)를 이끌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 전동 부재(231)는 회전부(2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 전동 부재(232)는 제1 전동 부재(2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전동 부재(232)는 계합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전동 부재(231)와 제2 전동 부재(232)를 배치함으로써, 전동부(230)의 자체 잠금을 방지하고,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의 원활한 전환을 확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동 부재(23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분포된 제1단(232a)과 제2단(232b)을 포함하고, 제1단(232a)은 계합부(220)에 고정 연결되며, 제2단(232b)은 제1 전동 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단(232a)은 예컨대 계합부(220)와 서로 용접되어 제2 전동 부재(232)가 계합부(220)를 이끌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 전동 부재(23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분포된 제3단(231a)과 제4단(231b)을 포함하고, 제3단(231a)은 제2 전동 부재(2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4단(231b)은 회전부(210)에 연결되어 회전부(210)가 제4단(231b)을 통해 전동부(230)를 이끌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4단(231b)은 회전부(2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전동 부재(231)의 제3단(231a)과 제2 전동 부재(232)의 제2단(232b)은 모두 슬리브 구조로 되어 있어, 제1 전동 부재(231)와 제2 전동 부재(232)가 부싱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전동 부재(231)의 제4단(231b)은 예컨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210)에는 제2 슬라이딩 홈(212f)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전동 부재(231)의 제4단(231b)은 제2 슬라이딩 홈(212f)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부(210)는 제2 슬라이딩 홈(212f)을 통해 제4단(231b)을 이끌어 고정축(1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210)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회전부(210)는 회전축(111)에 슬리브되는 회전 슬리브를 포함하고, 회전부(210)는 회전 슬리브를 통해 180도 이상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공간 제한으로 인해, 예를 들어 접이식 지지 부재(1)가 표시 장치에 사용될 때 표시 장치 내의 공간이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회전부(210)의 회전 각도가 큰 것을 구현하기 위해 다단 회전 부재를 배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회전부(210)는 1차 회전 부재(211) 및 2차 회전 부재(212)를 포함하고, 1차 회전 부재(211)는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2차 회전 부재(212)는 회전단(212b) 및 연결단(212a)을 포함하고, 회전단(212b)은 1차 회전 부재(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2차 회전 부재(212)는 회전단(212b)을 통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연결단(212a)은 전동부(2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1차 회전 부재(211)와 2차 회전 부재(212)를 배치함으로써, 회전부(210)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1차 회전 부재(211)와 회전축(111)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어, 축부(110)는 회전축(111) 주변에 둘러싸인 제한부(112)를 더 포함하고, 제한부(112)와 회전축(111)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한부(112)와 회전축(111) 사이에는 제1 회전홈(113)을 형성하며, 1차 회전 부재(211)는 제1 회전홈(11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회전홈(113)은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제1 개구는 제1 회전홈(113)의 제1 방향에서의 일단에 위치하여 1차 회전 부재(211)가 제1 개구를 통해 제1 회전홈(113) 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접이식 지지 부재(1)는 제1 개구를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회전 부재(211)는 중간축(211a), 중간축(211a)을 둘러싸여 배치된 호상부(211b) 및 중간축(211a)과 호상부(211b)를 연결시키는 하단(211c)을 포함하고, 하단(211c)에는 계합홈(211d)이 배치되며, 1차 회전 부재(211)는 계합홈(211d)을 통해 회전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축(211a)과 호상부(211b) 사이에는 제2 회전홈(211e)을 형성하며, 2차 회전 부재(212)의 회전단(212b)은 제2 회전홈(211e)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1차 회전 부재(211)는 계합홈(211d)을 통해 회전축(111)에 슬리브되고, 2차 회전 부재(212)는 제2 회전홈(211e) 내에 배치된다. 1차 회전 부재(211)는 계합홈(211d)을 통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차 회전 부재(212)는 제2 회전홈(211e)을 통해 1차 회전 부재(2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회전홈(211e)은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제2 개구는 제2 회전 부재의 제1 방향에서의 일단에 위치하며, 2차 회전 부재(212)는 제2 개구를 통해 제2 회전홈(211e) 내에 장착된다. 제2 개구와 제1 개구는 동일측에 위치한다. 패키징 부재(60)는 또한 제2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패키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회전축(111)의 제한부(112)로부터 멀어지는 표면에는 오목부(111a)가 둘러싸여 형성되고, 1차 회전 부재(211)는 계합홈(211d)을 둘러싸는 제한 블록(211f)을 포함하며, 제한 블록(211f)은 오목부(111a) 내에 위치한다. 회전축(111)의 중심선은 제한 블록(211f)을 통과한다. 선택적으로, 호상부(211b)의 중심 축선과 회전축(111)의 중심 축선은 중첩되므로, 1차 회전 부재(211)가 호상부(211b)를 통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호상부(211b)의 중간축(211a)으로부터 멀어지는 외면에는 제1 스토퍼부(211g)가 배치되어 있고, 제한부(112)에는 제2 스토퍼부(112a)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스토퍼부(211g)와 제2 스토퍼부(112a)의 협동을 통해 1차 회전 부재(211)의 회전 각도를 한정한다. 제1 스토퍼부(211g)와 제2 스토퍼부(112a)의 협동을 통해 1차 회전 부재(211)에 제한을 제공하여 1차 회전 부재(211)가 제1 회전홈(11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간축(211a)의 호상부(211b)를 향하는 표면에는 스냅홈(211h)이 배치되어 있고, 회전단(212b)에는 스냅홈(211h)과 상호 협동하는 후크(212c)가 배치되어 있으며, 스냅홈(211h)과 후크(212c)를 통해 2차 회전 부재(212)의 회전 각도를 한정한다. 후크(212c)와 스냅홈(211h)의 상호 협동을 통해, 2차 회전 부재(212)에 제한을 제공하여 2차 회전 부재(212)가 제2 회전홈(211e)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전단(212b)은 호상판(212d)을 포함하고, 중간축(211a)의 호상부(211b)를 향하는 외면은 호상판(212d)에 적합한 원호형 표면을 포함하며, 회전단은 호상판(212d)을 통해 원호형 표면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호상판(212d)의 중심 축선과 회전축(111)의 중심 축선은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후크(212c)는 호상판(212d)의 연결단(212a)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연결되고, 스냅홈(211h)은 원호형 표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2차 회전 부재(212)에는 제1 슬라이딩 홈(212e)이 배치되어 있고, 제1 슬라이딩 홈(212e)은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배치되고, 지지판 부재(20)의 전개부(202)는 제1 슬라이딩 홈(212e)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개부(202)가 슬라이딩 부재(30)를 통해 회전 조립체(200)에 연결될 때, 슬라이딩 부재(30)는 제1 슬라이딩 홈(212e)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2차 회전 부재(212)는 예컨대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제한판을 포함하고, 두 개의 제1 제한판 사이에는 제1 슬라이딩 홈(212e)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30)에는 예컨대 제1 슬라이딩 레일(31)이 배치되어 있고, 제1 슬라이딩 레일(31)은 제1 슬라이딩 홈(212e)에 위치하며, 제1 제한판과 제1 슬라이딩 레일(31)의 상호 협동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30)는 2차 회전 부재(212)를 이끌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2차 회전 부재(212)에는 또한 제2 슬라이딩 홈(212f)이 배치되고, 제2 슬라이딩 홈(212f)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며, 전동부(230)는 제2 슬라이딩 홈(212f)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동부(230)는 제1 전동 부재(231)를 포함하고, 제1 전동 부재(231)의 제4단(231b)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2차 회전 부재(212)는 예컨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제한판을 포함하고, 두 개의 제2 제한판 사이에는 제2 슬라이딩 홈(212f)이 형성된다. 제4단(231b)은 제2 슬라이딩 홈(212f) 내에 위치하고, 제4단(231b)과 제2 제한판의 상호 협동을 통해, 2차 회전 부재(212)가 제1 전동 부재(231)를 이끌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 슬라이딩 홈(212e)과 제2 슬라이딩 홈(212f)은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분포된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딩 홈(212f)은 제1 슬라이딩 홈(212e)에서 고정축(100)의 본체부(120)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회전축(111)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며,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셋트의 회전축(111) 조립체에 연결된 회전판(42)과 전개부(202)의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 위치에 따라, 동일 셋트의 회전축(111) 조립체에 연결된 회전축(1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도 16은 본원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접이식 부재의 상이한 상태에서의 구조 간략도이다.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지지 부재는 각각 내측 접이 상태, 전개 상태 및 외측 접이 상태에 있다. 도 16에서 일점쇄선은 지지판 부재의 내측 접이 상태, 외측 접이 상태 및 전개 상태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실선은 백커버 조립체의 내측 접이 상태, 외측 접이 상태 및 전개 상태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접이식 부재가 표시 장치에 사용될 경우, 일점쇄선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의 내측 접이 상태, 외측 접이 상태 및 전개 상태에서의 위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회전판(42)의 연장선과 전개 상태에서의 회전판(42) 사이에는 제1 교점(M)이 형성되고,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전개부(202)의 연장선과 전개 상태에서의 전개부(202) 사이에는 제2 교점(N)이 형성되며, 제1 교점(M)과 제2 교점(N)의 연결선은 제1 위치선을 형성한다.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회전판(42)의 연장선과 전개 상태에서의 회전판(42) 사이에는 제3 교점(Q)이 형성되고,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전개부(202)의 연장선과 전개 상태에서의 전개부(202) 사이에는 제4 교점(P)이 형성되며, 제3 교점(Q)과 제4 교점(P)의 연결선은 제2 위치선을 형성한다. 제1 위치선과 제2 위치선은 제5 교점(O')을 형성하고, 회전축(111)의 중심선은 제5 교점(O')에 위치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회전축(111)의 위치는 각 전개부(202)의 180도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접이식 지지 부재(1) 전체의 다각도 접이를 구현할 수 있다. 접이식 지지 부재(1)가 표시 장치에 사용될 경우, 지지판 부재(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를 지지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에서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의 180도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다각도 접이를 구현할 수 있다.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 내측 접이 상태, 외측 접이 상태 및 전개 상태에서의 중심선은 중첩된다.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지지판 부재(20)의 접이 반경을 R1,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지지판 부재(20)의 접이 반경을 R2, 접이식 지지 부재(1)의 두께를 H,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회전판(42)과 중심 축선의 거리를 d, 백커버 조립체(40)와 중심 축선의 교점을 (0,0)으로 정의하고, 제5 교점의 위치를 (x,y)로 가정한다.
또한, 접이식 지지 부재(1)가 전개 상태에서 내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때, 지지판 부재(20)의 접이 원심은 제1 위치선에 위치한다. 접이식 지지 부재(1)가 전개 상태에서 외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때, 지지판 부재(20)의 접이 원심은 제2 위치선에 위치한다. 그렇다면,
x+y=R1+H (1)
x-y=t/2 (2)
H+t/2=R2 (3)
상술한 식 (1), (2) 및 (3)으로부터 하기 식을 얻을 수 있다.
x=(R1+R2)/2 (4)
y=H-(R2-R1)/2 (5)
위의 식에 따라 제5 교점을 얻고, 제5 교점에 따라 회전축(111)의 위치를 결정하여, 접이식 지지 부재(1)가 내측 접이와 외측 접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전개부(202)가 180도 회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접이식 지지 부재(1)가 360도 접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장치는 전술한 임의의 제1 양태 실시예의 접이식 지지 부재(1)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을 더 포함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은 전개부(202)의 회전 조립체(20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된다.
본원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접이식 지지 부재(1)가 접이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때, 접이식 지지 부재(1)의 지지판 부재(20)의 변형량이 비교적 작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의 변형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은 제1 고정부(21), 제2 고정부(22) 및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 사이에 연결된 접이부(2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 중 적어도 하나는 전개부(202)에 연결되고, 접이부(23)는 고정축(10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전 조립체(200)가 두 개이고 전개부(202)가 두 개일 경우,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는 각 전개부(202)에 각각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개부(202)의 크기와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의 크기는 적합하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개부(202)의 원주 방향에서의 연장 크기는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의 크기보다 작다. 전개부(202)는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의 접이부(23)를 향하는 일측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장치는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를 더 포함하고,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는 전개부(202)의 연결부(201)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되며,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와 전개부(202)는 함께 제1 고정부(21) 및/또는 제2 고정부(22)를 지지한다.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는 예컨대 두 개이고, 두 개의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는 각각 접이부(23)의 양측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장치는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 외부에 끼워 설치된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예컨대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되는 전기 메인 보드(4)를 더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예컨대 전지(5)를 더 포함하고, 전지(5)와 전기 메인 보드(4)는 각각 접이부(23)의 양측에 배치된다. 전지(5)와 전기 메인 보드(4)는 각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각각 배치된다.
표시 장치는 예컨대 스크린 본체 지지 부재(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화면(2)을 향하는 일측에 배치되는 가압 스트립(6)을 더 포함하고, 가압 스트립(6)은 U형을 나타낸다.
본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선이 가능하며, 그 중의 부품들은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